분류 전체보기 546

트럼프 고객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 됩니다

트럼프 고객님! 여기서 이러시면 안 됩니다. ​누가 미국 초기 백여 년 간 관세만으로 미국이 재정을 운영했다고, 1920년 대까지 관세로 운영했다고 흥분해서 우리 트럼프 고객님 주장에 동조하시는데! 두 분 다 정신 차리세요. ​2023년 미국의 연방 정부의 총 세수(Federal Revenue)는 약 4.9조 달러로 추정됩니다. 여기서 관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1.8%를 차지합니다! 그럼 98.2%를 관세로 거두어들여야 합니다.그럼 전 세계 인민의 피를 얼마나 빨아야 할까요? 약 4.8조 달러를 빨아야 합니다.아무리 트럼프 고객님이 전 세계 슈퍼파워 대통령이라고 해도 어떻게 그런 야무진(?) 꿈을 꾸고 거기에 탑승하세요. 무슨 4.8조 원이 아니고 4.8조 달러가 애들 껌값도 아니고!무서워요! http..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미국이 효과도 없는 보호무역주의를 남발하는 이유!

미국이 효과도 없는 보호무역주의를 남발하는 이유!​미국이 보호무역주의를 시행할 때마다 성공하지 못했음에도, 자꾸 뻥카를 반복하는 이유는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보호무역주의는 단순히 경제적 이유만으로 발표되는 게 아니라, 국내 정치적 압박, 글로벌 경쟁 그리고 대중의 심리적 요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그럽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37 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 낸시 틸먼 - 교보문고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 동물원의 곰이 잠든 이유를 알고 있니?미국의 낸시 틸먼의 『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자신이 태어난 날에 대해 궁금해하는 아이를 위해 창작p..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트럼프가 모를까? 관세전쟁의 부작용을.

트럼프가 모를까? 관세전쟁의 부작용을.​1946년 생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John Trump)가 모를까? 관세전쟁의 부작용을.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을 나온 놈이?《거래의 기술》 등 수십 권의 저자인 트럼프가 모를 리가?항상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라고 설파하던 놈이 이번 관세 전쟁의 최악의 경우에 대해서 대비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모를까?어프렌티스(The Apprentice)를 수년간 진행하면서 욕망 앞에 흔들리던 대중의 마음을 간파하지 못하고 있을까?4년간 세계 최강국 미국을 통치하고 전 세계를 호령했던 놈이 그걸 모를까? 트럼프가 2만 개 이상의 수입품에 평균 관세 25%도 아닌 자그마치 40%를 부과했던 스무트-홀리 관세법을 모를까? 그리고 관세전쟁의 부작용을 모를까요?http..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축구를 사랑한 이유와 먼로주의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축구를 사랑한 이유와 먼로주의​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특히 축구에 몰입하게 된 배경은 유럽에서 전파된 축구 문화와 지역적 요인에 기인하지만, 미국과의 관련성도 존재합니다. 다만, 미국과의 관계는 축구 자체의 발전보다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에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244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6: 스포츠 자본 약일까, 독일까? | 닉 헌터 - 교보문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6: 스포츠 자본 약일까, 독일까? |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제36권 《스포츠 자본 약일까, 독일까?》 . 인류 최초의 스포츠 경pro..

카테고리 없음 2025.02.02

영국 상위 1%의 올드 보이 네트워크(Old Boy Network)

영국 상위 1%의 올드 보이 네트워크(Old Boy Network)1. 영국 GDP 액수영국의 명목 GDP는 2022년 기준 약 3.19조 달러(USD)로, 세계에서 6~7위권의 경제 규모입니다. 2. 영국 상위 1%의 순자산■ 영국 상위 1%의 순자산은 대략적으로 800만 파운드(GBP) 이상으로 추정됩니다.​3. 연 소득■ 영국 국민의 평균 연 소득은 약 3만 파운드(GBP) 수준입니다.■ 상위 1%의 연 소득은 약 17만~20만 파운드(GBP) 이상으로 추정됩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64975 가난이 조종되고 있다 | 에드워드 로이스 - 교보문고가난이 조종되고 있다 | 부의 재분배가 아닌, 권력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금수저, 은수저로 얘..

카테고리 없음 2025.02.02

트럼프가 북한에 진짜 원하는 거? 비핵화? 노벨평화상?

트럼프가 북한에 진짜 원하는 거? 비핵화? 노벨평화상?​미국이 북한에 원하는 것은 단순히 북한의 핵무기 폐기에 있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지정학적 계산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북한의 비핵화를 강조하지만, 그 이면에는 미국의 동북아시아에서의 패권 유지, 동맹 관리, 중국 견제 그리고 남북한 관계 조정과 같은 다양한 전략적 목표가 숨어 있습니다. 이를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87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3: 핵전쟁 어떻게 막아야 할까? | 국기연 - 교보문고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3: 핵전쟁 어떻게 막아야 할까? | 《세상에 대하여 우..

카테고리 없음 2025.02.02

미국이 한국의 핵무장을 반대하는 진짜 이유

미국이 한국의 핵무장을 반대하는 진짜 이유​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니까 우리 남한도 핵무기를 개발해야 하는 거 아니야는 의견이 한국인 사이에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미국은 이를 반대하고 핵우산으로 우리를 핵으로부터 보호해주겠다고 하면서 이를 말립니다. 하지만 이는 너무 단순하게 분석하는 것이고 사실 미국이 한국이나 P5를 제외한 나라의 핵무장을 억제하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다. 미국이 타국의 핵무장을 억제하려는 이유는 단순히 인류 평화와 국제 안정만이 아니라,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패권 유지와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달러 패권과의 연관성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미국은 세계를 지배할 때 사람이 피흘려 죽는 전쟁보다는 경제 ..

카테고리 없음 2025.02.02

한국 통화를 달러로 바꾸는 게 어때?

한국 통화를 달러로 바꾸는 게 어때?​우리는 강달러(미국 금리 인상 등의 이유)가 지속되거나, 국내 경기가 안 좋아 환율이 급등할 때 자본 유출로 외환 위기가 다시 오는 게 아냐 하고 걱정할 때 누구나 이럴 바에는 차라리 한화를, 한국 화폐를 달러로 바꾸는 게 낫지 않아 하는 생각들을 다 합니다. 안 해 봤으면 배신자죠.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어떤 점이 좋고, 어떤 점이 나쁜지 그리고 결론적으로 달러로 바꾸는 게 나은지, 안 좋은지를 말입니다. 이런 잡생각에 종지부를 한 번 찍어보겠으나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다행히 우리처럼 이런 생각을 하고 일찌감치 실행한 나라들도 많더군요. 한화를 달려로 바꾸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직접적으로 미 달러를 자국 통화로 사용하는 나라들(달러라이제인션, ..

카테고리 없음 2025.02.01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근본적 이유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근본적 이유 1. 미국의 경제적 우위와 불균형미국 달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세계의 기축통화로 자리 잡았으며, 미국 경제의 강력한 패권을 기반으로 유지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미국은 달러 패권을 활용해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었으나, 다른 국가들은 미국 경제의 문제를 오롯이 뒤집어쓰고 있다는 표면적인 불만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좀 더 근본적인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이유를 찾아보면 "달러 패권"이라는 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달러 패권"이라는 말은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국가 경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달러를 반드시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또 반드시 무역 흑자를 유지해야 한다는 구조적 부담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https:/..

카테고리 없음 2025.02.01

오래된 반트럼피즘(미국 우선주의), 달러패권 도전 양상들

오래된 반트럼피즘(미국 우선주의), 달러패권 도전 양상들 최근 몇 년간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들은 달러 패권에 도전하거나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피즘(미국 우선주의)에 대항해 경제 주권 확보, 미국의 제재 및 통화정책에 따른 리스크를 완화하려는 정당한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당장 완결은 가능하지 않더라도 지속가능성은 있어 보입니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하면 신흥국에서 자본 유출이 발생하고, 자국 통화 가치가 하락하며 경제적 불안정이 초래되는 게 주지의 사실이라면 어느 국가라도 자국이 야기한 문제가 아닌 타국의 문제로 곤란을 겪는데 계속 인내할 수 있을까요? 그것도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그런 문제를 겪어 왔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은데?http..

카테고리 없음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