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12

학교에 교칙이 있는 게 좋을까, 없는 게 좋을까?

학교에 교칙이 있는 게 좋을까, 없는 게 좋을까?​학교에 교칙이 있는 것이 더 좋은가, 없는 것이 더 좋은가는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가 한 번쯤 고민해볼 만한 주제입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41 학교에는 규칙이 있어요! | 로랑스 살라윈 - 교보문고학교에는 규칙이 있어요! | 규칙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태생적인 거부감세상에는 하고 싶은 일과 하기 싫은 일,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어요. 나름의 규칙을 우리는 어려서부터 배운product.kyobobook.co.kr1. 학교에 교칙이 있는 것이 낫다1) 장점● 질서 유지: 모두가 지켜야 할 기준이 있으니 학교 생활이 혼란스럽지 않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습니다.● 학생..

소음 민원에 시달리는 요즘 초등학교 운동회(외국은 어떨까?)

소음 민원에 시달리는 요즘 초등학교 운동회(외국은 어떨까?)​최근 몇 년 사이에 초등학교 운동회나 각종 학교 행사에서 아이들이 먼저 “죄송합니다! 조금만 놀게요!”라고 크게 외치거나, 선생님이 “주변 이웃분들께 양해 부탁드립니다”라고 안내하는 모습이 많아졌다는 이야기가 종종 기사나 커뮤니티에서 보입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03 꼴찌 없는 운동회 | 고정욱 - 교보문고꼴찌 없는 운동회 | 용인제일초등학교의 감동 실화『꼴찌 없는 운동회』. 운동회를 앞두고 용인 제일초등학교 어린이들은 모두 신이 나서 야단입니다. 하지만 저신장 장애를 가지고 있는 기국product.kyobobook.co.kr이런 현상은 실제로 학교 행사 소음에 대한 민원이 ..

케인스학파의 승수효과의 정확한 의미

케인스학파의 승수효과의 정확한 의미​케인스학파(케인지언)의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는 정부 지출, 투자, 소비 등 총수요의 변화가 국민소득에 몇 배로 증폭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새로운 지출(정부 지출, 투자, 소비 등)이 소득과 생산의 증가로 이어져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몇 가지 중요한 조건이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64975 가난이 조종되고 있다 | 에드워드 로이스 - 교보문고가난이 조종되고 있다 | 부의 재분배가 아닌, 권력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금수저, 은수저로 얘기되는 ‘수저계급론’이 세간에 자주 화제로 오르고 있다. 여기에 때를 맞추어, ‘복지에 관한 논product.kyobobook..

집에 작은 규칙 하나 정도 있는 게 어떨까요?

집에 작은 규칙 하나 정도 있는 게 어떨까요?​많은 가정에서 특별히 “규칙”이라고 정해놓지 않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집에서도 규칙이 필요할지 고민해 보는 건 아주 의미 있는 일입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31 집에는 규칙이 있어요! | 로랑스 살라윈 - 교보문고집에는 규칙이 있어요! | 규칙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태생적인 거부감 세상에는 하고 싶은 일과 하기 싫은 일,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어요. 나름의 기준을 우리는 어려서부터 배운product.kyobobook.co.kr 1. 집에 규칙이 없는 경우1) 장점● 가족 간에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서로 믿고 배려하는 마음이 자연스럽게 ..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초등학생에게 주변인의 죽음을 어떻게 말해줘야 하나?

초등학생에게 주변인의 죽음을 어떻게 말해줘야 하나?​초등학생에게 주변인(가족, 친구, 지인 등)의 죽음을 설명하는 일은 매우 섬세하고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나이, 성숙도, 성격에 따라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 설명해 주면 좋습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32 열한 살의 아빠의 엄마를 만나다 | 케빈 헹크스 - 교보문고열한 살의 아빠의 엄마를 만나다 | 『열한 살의 아빠의 엄마를 만나다』는 할머니의 죽음을 통해 열한 살에 처음으로 인생의 깊이를 맛보는 이야기입니다. 사흘이 멀다 하고 만났던 할머니가 심product.kyobobook.co.kr1. 정직하지만 연령에 맞는 언어 사용거짓말을 하거..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석유를 '검은 금'이라고 하면 안 되는 이유

석유를 '검은 금'이라고 하면 안 되는 이유​1. 석유는 단순히 연료만이 아니다많은 사람들이 석유를 휘발유, 경유 등 자동차 연료로만 생각하지만, 실제로 석유는 플라스틱, 화장품, 의약품, 합성섬유, 비료, 세제, 페인트 등 수천 가지 제품의 원료로 사용됩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97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84: 석유, 고갈될까? | 필립 스틸 - 교보문고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84: 석유, 고갈될까? | 석유 고갈? 또 그 소리야? 지겹지도 않아. 1990년에 43년 남았다며? 한 30년 지났으니까 그럼 10년 남았네. 그런데 세상이 이렇게 조product.kyobobook.co.kr2. ..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아이가 책을 읽을 수 있어도 부모가 책을 읽어줘야 하는 이유?

아이가 책을 읽을 수 있어도 부모가 책을 읽어줘야 하는 이유?​아이가 스스로 책을 읽을 수 있어도, 부모나 어른이 책을 읽어주는 것(그림책 읽어주기, 동화 읽어주기 등)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책 읽기가 단순히 ‘글자를 읽는 능력’ 이상의 다양한 성장과 발달에 엄청난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꼭 아이의 지식 습득을 위해서만 책을 읽는 건 아닙니다. ​1. 아이에게 책을 읽어줘야 하는 이유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37 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 낸시 틸먼 - 교보문고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 동물원의 곰이 잠든 이유를 알고 있니?미국의 낸시 틸먼의 『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자신이 태어난 날에 ..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경주, 어디까지 가봤니?(feat 경주의 숨은 명소)

경주, 어디까지 가봤니?(feat 경주의 숨은 명소)1. 경주 남산의 숨겨진 불상과 암각화경주 남산(南山)은 신라의 성지이자, ‘야외 박물관’이라는 별명을 가진 특별한 산입니다. 경주 남산에는 공식적으로만 100점이 넘는 불상, 탑, 석조물, 암각화 등이 분포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남산 전체에 걸쳐서 신라시대의 불상, 탑, 석등, 암각화 등이 200여 점 이상 산재해 있습니다. 등산로를 따라가면 표지판이 있는 유명 유적도 볼 수 있지만, 산길을 벗어난 곳이나 바위 뒤, 숲속 등에는 안내판도 없는 숨은 유적이 많아, 현지인이나 문화재 마니아들이 GPS를 찍고 찾아가기도 하는 곳입니다.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25 해파랑길을 걸어요..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북한 사람들은 평양 시민을 어떻게 볼까?

북한 사람들은 평양 시민을 어떻게 볼까?​북한 하면 평양의 모습이나 평양 시민들의 생활을 많이 소개하지만, 평양시에는 북한 전체 인구의 약 10%만이 살고 있을 뿐입니다. 평양 외 지역, 즉 지방이나 농촌에 사는 북한 주민들도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우리 동포들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들에게 한 걸음 더 들어가 살펴보면 평양 시민과 그 외 지역에 사는 북한 사람들은 많이 다르다는 느낌을 받는데요. 감정도 다르고, 정치적 의견도 다를 수 있을 것 같아서 조사를 했습니다. 알려진 바로는 평양 시민과 평양 외 지방 주민들 사이에는 상당한 심리적·사회적 거리감과 불만, 심지어 질투와 반감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 현상은 북한 사회의 구조적인 차별과 계급제도, 그리고 생활 수준의 격차에서 비롯되었습니다.http..

카테고리 없음 2025.05.19

4차 산업혁명은 왜 불평등 해소에는 관심이 없을까?

4차 산업혁명은 왜 불평등 해소에는 관심이 없을까?​오늘날 전 세계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경제학자, 국제기구, 정책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꼽는 것이 바로 “불평등(inequality)과 부의 격차(wealth gap)”입니다. 그럼에도 산업혁명이 1차에서 4차까지 진행해가면서 단 한 번도 불평등과 부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인 적은 없었습니다. 물론 산업혁명이 사회가 “이런 세상을 만들자!”고 의도적으로 추진해서 일어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사회의 여러 요인이 쌓이고 쌓여서, 임계점을 넘어서면 사회 전체가 급격하게 변하는 “결과”로 나타나는 게 산업혁명입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왜 산업혁명은 우리 전 인류가 심각하고 시급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문제인 불평등과 부..

카테고리 없음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