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람들은 평양 시민을 어떻게 볼까?
북한 하면 평양의 모습이나 평양 시민들의 생활을 많이 소개하지만, 평양시에는 북한 전체 인구의 약 10%만이 살고 있을 뿐입니다. 평양 외 지역, 즉 지방이나 농촌에 사는 북한 주민들도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우리 동포들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들에게 한 걸음 더 들어가 살펴보면 평양 시민과 그 외 지역에 사는 북한 사람들은 많이 다르다는 느낌을 받는데요. 감정도 다르고, 정치적 의견도 다를 수 있을 것 같아서 조사를 했습니다.
알려진 바로는 평양 시민과 평양 외 지방 주민들 사이에는 상당한 심리적·사회적 거리감과 불만, 심지어 질투와 반감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 현상은 북한 사회의 구조적인 차별과 계급제도, 그리고 생활 수준의 격차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평양에서 태양을 보다 | 윤문영 - 교보문고
평양에서 태양을 보다 | 가보지 못한 곳, 가기 힘든 국가와 도시를 여행합니다- 평양우리는 평양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평양은 우리와 같은 한반도에 있는 도시인데도 우리는 갈 수 없어요.
product.kyobobook.co.kr
1. 왜 그런 감정이 생길까?
1) 계급(성분) 차별
북한은 ‘성분’이라는 출신 성분에 따른 계급제를 운영합니다. 성분이 좋은 사람들(혁명가, 전사 가족 등)이 평양에 거주할 수 있고, 성분이 낮은 사람들은 지방이나 농촌에 배치됩니다. 평양 시민은 다른 지역 주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혜택(식량, 배급, 교육, 취업 등)을 많이 받으며, 지방 주민들은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습니다. 중국도 1선부터 5선까지 도시가 정해져 있고, 호구제도를 통해서 ‘정착’과 ‘복지’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25
멕시코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멕시코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멕시코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주변에서 쉽게 만나볼 수 없는 낯선 문화를 향한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에요. 멕시코(Mexico)가 어떤 나라
product.kyobobook.co.kr
2) 생활수준 격차
평양에는 전기, 수도, 교통, 의료, 교육 등 인프라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습니다. 지방은 전기나 식량 공급이 불안정하고, 의료·교육 환경도 열악합니다. 이런 차이로 인해 지방 주민들은 평양 시민을 ‘특권층’으로 인식하고 부러워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26
러시아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러시아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 - 러시아 《러시아에서 태양을 보다》가 특별한 이유는, 쉽게 만나볼 수 없는 낯선 문화에 다가설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에요. 러시아는
product.kyobobook.co.kr
3) 사회적 특권 의식
평양 시민들은 자신들이 ‘선민’이라는 자부심을 갖는 경우가 많아, 지방 주민을 무시하거나 차별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태도는 지방 주민들의 반감과 소외감을 더욱 키웁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21
중국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중국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중국중국은 어떤 나라일까요? 중국은 도교와 유교의 발상지로 유명하지만, 불교를 동아시아 각지로 전파한 나라이기도 해요. 우리와 같은
product.kyobobook.co.kr
4) 이동 제한 정책
지방 주민들은 평양에 자유롭게 들어갈 수 없지만, 평양 시민은 지방 방문이 더 자유롭습니다. 이 역시 불공평하다고 느끼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19
터키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터키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터키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주변에서 쉽사리 찾아볼 수 없는 낯선 문화에 접근할 수 있게끔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에요. 터키(Turkey)가 어
product.kyobobook.co.kr
2. 실제로 지방 주민들은 평양 시민을 어떻게 볼까?
1) 질투와 반감: ‘왜 저 사람들은 저렇게 잘 사나’, ‘우리는 왜 항상 부족한가’라는 감정을 가지기도 합니다.
2) 체념과 분노: ‘우리는 어차피 기회도 없다’는 체념, 또는 ‘이렇게 사는 건 부당하다’는 분노가 생기기도 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07
네팔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네팔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네팔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주변에서 쉽사리 찾아볼 수 없는 낯선 문화에 접근할 수 있게끔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에요. 혹시 네팔이라는
product.kyobobook.co.kr
3) 동경과 희망: 반면, 일부는 평양 시민처럼 되고 싶어 노력하거나, 평양에 들어가는 것이 인생의 목표인 사람들도 있습니다.
4) 불신과 거리감: 서로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평양 사람은 지방 사람을, 지방 사람은 평양 사람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10
미얀마(버마)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미얀마(버마)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미얀마(버마)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주변에서 쉽사리 찾아볼 수 없는 낯선 문화에 접근할 수 있게끔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에요.
product.kyobobook.co.kr
3. 실제 사례
탈북자 증언, 국제 NGO 보고서, 북한 내부 소식통 등을 통해 이런 감정의 골이 꽤 깊다는 사실이 여러 번 확인되었습니다. 평양 출신 탈북자는 한국에 와서도 ‘평양 출신’임을 강조하며 자부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지방 출신 탈북자는 평양 출신 탈북자와의 관계에서 위화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05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아프카니스탄우리가 사는 이 지구에 몇 개의 나라가 있는지, 혹시 알아요? 하나하나 헤아려 보려고 해도, 어지간해서는 스무 곳
product.kyobobook.co.kr
4. 정리하면,
북한 사회 내에서 평양 시민과 지방 주민의 갈등, 질투, 반감은 실제로 존재하며, 이는 북한의 계급적이고 폐쇄적인 사회 시스템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문제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932440
어린이 여행인문학 1-28권 세트 | 데디 킹 외 - 교보문고
어린이 여행인문학 1-28권 세트 | 다른 나라, 다른 문화와의 접촉은 우리네 삶에서 필연이다. 그래서 ‘다름’이 전혀 이상할 게 아니라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점을 어려서부터 배워야 한다. 세계
product.kyobobook.co.kr
#북한사회 #평양시민 #지방주민 #북한계급 #북한생활 #북한차별 #성분제 #북한이동제한 #북한실상 #북한주민감정 #북한정보 #북한생활격차 #평양과지방 #탈북자증언 #북한현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22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3: 통일 비용 부담일까 투자일까 | 김성호 - 교보문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3: 통일 비용 부담일까 투자일까 | ▶ 한국통일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product.kyobobook.co.kr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339124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세더잘) 세트 | 내인생의책 편집부 외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세더잘) 세트 | 편견과 선입견에 싸인 지식은 NO! 우리 아이들에게 세상을 보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눈을 길러 주는 책내인생의책 출판사는 우리 아이
product.kyobobook.co.kr
※아래를 클릭하시면 관련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70257772
북한 사람들은 평양 시민을 어떻게 볼까?
북한 사람들은 평양 시민을 어떻게 볼까? 북한 하면 평양의 모습이나 평양 시민들의 생활을 많이 소개하지...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