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천마총에서 로마 유리잔이 나와도 로마와 교역한 건 아니라고?

내인생의책 2025. 4. 5. 17:02

천마총에서 로마 유리잔이 나와도 로마와 교역한 건 아니라고?

경주의 신라 유적과 유물은 당시 신라가 단순히 한반도 내의 소국이 아니라, 국제 교류가 활발했던 해양 왕국이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들로 가득합니다. 로마 유리잔, 금관 외에도 현대 한국인으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신라의 국제성과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보여주는 많은 사례들이 있습니다.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25

 

해파랑길을 걸어요: 경주 | 이동미 - 교보문고

해파랑길을 걸어요: 경주 | 『해파랑길을 걸어요: 경주』는 10구간 중, 걸으며 인문학 여행을 떠나기에 가장 좋은 다섯 곳(부산, 경주, 삼척, 강릉, 고성)을 뽑아 각각 한 권씩 나누어 소개한 시리

product.kyobobook.co.kr

1. 유리구슬 (Glass Beads)

황남대총의 유리구슬 지름 1cm. 신라 5세기

1) 유래: 경주의 대릉원, 천마총, 황남대총 등 신라 시대의 주요 고분에서 다양한 색상과 형태의 유리구슬이 발견되었습니다. 일부 유리구슬은 서아시아(페르시아), 중앙아시아, 지중해 연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리 제작 기술은 당시 동아시아보다 서아시아와 지중해 지역에서 더 발달해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구슬들은 다채로운 색상(파란색, 녹색, 황금색 등)과 정교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데, 일부는 신라 자체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외부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2) 의미: 당시 신라가 비단길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서방 세계와 교류했음을 보여줍니다. 유리구슬은 신라 귀족들의 장식품으로 사용되었으며, 국제적 물품이 신라에 유입되었음을 상징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33

 

해파랑길을 걸어요: 삼척 | 이동미 - 교보문고

해파랑길을 걸어요: 삼척 | 역사와 생태를 동시에 배우는 해파랑길 인문 여행!문화, 예술, 역사, 과학, 환경 등 다양한 지식을 즐겁게 배울 수 있는 「인문학 놀이터」 제9권 『해파랑길을 걸어요

product.kyobobook.co.kr

2. 천마총에서 발견된 로마 유리잔

천마총 로마 유리잔

1) 발견지: 천마총에서 로마제국 시기의 유리잔이 발견되었습니다.

2) 의미: 신라와 로마가 직접적인 교역을 했다면 로마에도 그런 기록이 있겠지만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로마에는 동아시아(특히 중국)와의 간접적인 교역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신라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이는 로마가 신라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간접적인 교역만 이루어졌음을 시사합니다. 신라도 4~5세기 당시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소규모 왕국으로, 로마와 직접 교역할 정도의 생산력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즉, 로마 물품이 여러 중개국(예: 페르시아, 인도, 중국)을 거쳐 신라에 도달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34

 

해파랑길을 걸어요: 강릉 | 이동미 - 교보문고

해파랑길을 걸어요: 강릉 | 《해파랑길을 걸어요_강릉》 편은 여행 전문 작가 이동미 선생님이 해파랑길 강릉 구간을 직접 다녀와서 썼어요. 해파랑길 지도를 보며 두 발로 뚜벅뚜벅 걸어서 다

product.kyobobook.co.kr

3. 신라 금관의 디자인

1) 독특한 형태: 신라 금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나뭇가지나 사슴의 뿔을 연상시키는 장식입니다.

2) 국제적 교류의 흔적: 사슴은 유목민 문화에서 영적 존재재생을 상징합니다. 스키타이 문화(기원전 8~3세기)는 유라시아 초원 지대를 중심으로 한 유목민 문화로, 동물 문양과 금속 공예가 발달했습니다. 특히, 사슴, 나뭇가지 등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다자인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을 통해 신라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신라가 단순히 한반도 내의 문화권에 머무르지 않고, 유라시아 대륙의 문화적 흐름 속에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35

 

해파랑길을 걸어요: 고성 | 오진희 - 교보문고

해파랑길을 걸어요: 고성 | 부산부터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 고성까지 이어진 해파랑길. 해파랑길은 동해안을 걸으며 자연과 생태, 역사, 전설을 모두 접할 수 있는 인문학 길이에요!《해파랑길

product.kyobobook.co.kr

4. 불교와 인도 문화의 영향

1) 불교의 전래: 신라는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통해 불교를 받아들였는데, 경주 불국사는 불교적 세계관을 건축으로 구현한 대표적인 신라 유적입니다. 불국사의 구조는 인간 세계와 불교의 이상 세계(극락)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인도 불교 미학이 신라의 독창적인 건축 기술과 만나 융합한 결과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석굴암 역시 인도의 석굴 사원(예: 아잔타 석굴)과 유사한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본존불(석굴암의 중앙 불상)은 인도의 불상 양식(간다라 미술)과 중국 및 신라의 미적 감각이 융합된 형태로, 신라의 불교 예술이 국제적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줍니다.

2) 화엄 사상: 신라 경주는 화엄 사상의 중심지로, 신라 불교의 철학적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화엄 사상은 인도의 불교 철학(특히 대승불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모든 존재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연기(緣起)와 일즉다다즉일(一卽多多卽一)의 사상을 강조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24

 

해파랑길을 걸어요: 부산 | 오진희 - 교보문고

해파랑길을 걸어요: 부산 | 문화, 예술, 역사, 과학, 환경 등 다양한 지식을 즐겁게 배울 수 있는 「인문학 놀이터」 제7권 『해파랑길을 걸어요: 부산』. 호랑이를 닮은 우리나라 땅 중 호랑이 등

product.kyobobook.co.kr

5. 서역인(페르시아인)의 존재

1) 문헌 기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신라 왕궁에서 활동한 서역인들에 대한 기록이 등장합니다. 문헌에 따르면, 서역인들은 왕궁에서 외교, 무역, 예술 등의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신라의 국제적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서역 상인과 기술자들이 신라에 귀금속 세공, 유리 공예, 직물 제작 등의 기술을 전파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2) 실제 증거: 경주에서 발굴된 일부 유물이나 인물 묘사에서 서역인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이는 신라가 국제적인 인재를 받아들였던 개방적인 사회였음을 보여줍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26

 

어린이 한국사 1: 석기 시대에서 고조선 건국까지 | 송언 - 교보문고

어린이 한국사 1: 석기 시대에서 고조선 건국까지 | 어린이들이 한국사의 특수성과 세계사의 보편성을 함께 이해하면서 올바른 역사관을 세울 수 있게 도와주는 『세계사와 함께 보는 어린이 한

product.kyobobook.co.kr

※아래를 클릭하시면 글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23151006

 

미쳤구나, 신라 경주에서 로마 유리잔이라니?

미쳤구나, 신라 경주에서 로마 유리잔이라니? 경주의 신라 유적과 유물은 당시 신라가 단순히 한반도 내의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