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에게 “다케시마가 일본 땅이라는 일본측 주장의 근거와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근거를 대고 중립적 입장에서 논해보시오.”리고 물어봤습니다.
아래에 ChatGPT가 답한 한글과 영문이 있습니다.
일본 측의 근거가 정말 이것밖에 없는지 모르겠지만, 이렇게나 허약한 근거라면, 이게 다라면 역시 주장은 생떼가 최고의 수인 게 확실합니다.
일본은 '한일병합이 이루어지기 전, 1905년 시마네현에 편입되기 이전에 독도는 한국이 통치한 적 없는 무주지(無住地)였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독도는 고려시대에 우산국이 편입되어 실효지배를 받는 영토였고 심지어 공문서도 있습니다. 1900년 10월 25일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반포하여 석도를 울릉도의 행정구역에 소속됨을 분명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데 일본은 석도가 다른 섬이거나 구름 등 다른 자연물로 오인한 게 아니냐는 주장을 하는 데 이러면 대화할 가치가 없어집니다. 뭔 말을 해도, 뭔 증거를 들이대도 다 잘못 알아서 그렇다고 억지를 부리면 설득할 방법이 없어요.
러일전쟁을 종결시킨 포츠머스 조약(1905)과 샌프란시스코 조약(1951)을 얘기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할 말은 없네요. 일본 영토 목록에 명기되지 않았는데, 명기 안 된 게 그 근거라고 하는데, 말은 이해가 가지만 뭐라고 할 말이 없습니다.
일본 정부 입장가 계속 독도문제를 걸고 넘어지는 이유가 따로 있었네요.
가토 가쓰노부 내각 관방장관의 발언에서 보듯 전쟁 말고는 독도의 실효지배를 확보할 수 없는 방법이 전무함을 인지하고 있으나, 자국의 주장에서 한 발이라도 후퇴하는 모습을 자국민에게 보여주었다가는 자신들의 정권 지지율에 어떤 타격이 갈지 뻔히 예상되는 상황이라 물러서지 않고 계속 도발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 입장은 이미 독도를 실효지배를 하고 있어 현상 유지만 해도 되고, 논쟁에 휘말려 얻을 실리적 이익은 거의 없어 일본아 떠들어라하고 가만히 있는 거랍니다.
독도 수비대
내 인생의 그림책 시리즈 66권. 60여 년 전,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시절에 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일본 정부는 스리슬쩍 독도를 빼앗아 가려고 막무가내로 일본 어부들을 독도로 보냈다. 일본 어
www.aladin.co.kr
ChatGPT
질문 : 다케시마가 일본 땅이라는 일본측 주장의 근거와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근거를 대고 중립적 입장에서 논해보시오.
답변 :
다케시마/독도 섬에 대한 영토 분쟁에는 일본과 한국이 관련되어 있으며, 각 국가는 서로 다른 역사적, 법적, 지정학적 주장에 따라 소유권을 주장합니다. 양측은 일본에서는 다케시마 , 한국에서는 독도로 알려진 동일한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합니다 . 다음은 두 주장의 근거에 대한 중립적인 개요입니다.
일본의 주장: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
1. 역사적 존재 : 일본은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섬들과 역사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일본 정부는 다케시마(리앙쿠르 록스라고도 함)가 1900년대 초, 특히 1905년에 일본의 행정 구역에 편입되었다고 주장합니다. 그 전에 일본은 섬들이 무인도였으며 일본 어부들이 알고 이용했다고 주장합니다.
2. 포츠머스 조약(1905) : 일본의 영유권 주장은 러일 전쟁을 종결시킨 포츠머스 조약(1905) 이후 다케시마가 일본의 일부로 인정되었다는 주장에 부분적으로 근거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 조약에서 다케시마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 섬은 일본의 통제 하에 있었고 그 이후 기간에 지도에 일본 영토로 표시되었다고 주장합니다.
3.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개 :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많은 영토를 잃었지만, 다케시마는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이라고도 알려진 일본과의 평화 조약(1951)에 따라 포기해야 할 영토 목록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이 누락이 섬에 대한 주장을 확인한다고 주장합니다.
4. 통제 및 행정 : 일본은 20세기 초부터 이 섬에 대한 행정적 통제권을 유지해 왔으며, 1905년에 이 섬을 자국 영토에 편입한 이래로 다케시마가 사실상 자국의 지배 하에 있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주장: 독도는 한국 영토
1. 역사적 증거 : 한국은 일본의 주장보다 앞서 독도와 역사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한국 정부는 조선 왕조(1392-1897)와 그 이전의 다양한 기록을 지적하는데, 이 기록에서 이 섬들은 한국 영토의 일부로 언급되었습니다. 한국 문서에서는 이 섬을 우산도라고 언급하고 , 역사적 지도와 행정 기록에서 이 섬들이 한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되었다고 주장합니다. 한국은 이 섬들이 1905년 일본의 공식 합병보다 훨씬 이전에 한국이 통제하고 관리했다고 주장합니다.
2. 일본의 한국 합병(1910년) : 한국은 일본이 1910년에 한국을 합병하고, 그 전 1905년에 섬을 일본 영토에 편입한 것이 모두 침략 행위라고 주장합니다.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을 불법으로 합병한 것은 일본이 독도와 같은 영토에 대한 합법적인 주장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3. 2차 세계대전 이후 점령 :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섬이 한국 주권으로 반환되었다고 주장합니다. 1952년, 한국은 독도 주변 해역을 포함하는 해상 경계인 이승만 라인을 확립했습니다. 한국은 섬이 자국 영토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1950년대부터 효과적으로 관리해 왔다고 주장합니다.
4. 현재 통제 : 한국은 현재 섬에 작은 경찰서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시민들이 그곳에 거주하며 주권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섬에 대한 지속적인 점유를 합법적인 소유권의 추가 증거로 보고 있습니다.
분쟁의 핵심 포인트
1. 역사적 해석 : 의견 불일치의 주요 근거는 역사적 해석의 차이에 있습니다. 일본은 20세기 초에 섬에 대한 통제와 행정 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한국은 특히 조선 시대부터의 역사적 존재와 통치를 강조하는데, 이는 일본의 공식적 통제보다 앞선다고 주장합니다.
2. 국제적 법적 맥락 :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과 같은 국제 조약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합의에 대한 해석은 분쟁의 핵심으로 남아 있습니다. 일본은 조약에서 다케시마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양도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국은 전후 합의와 그에 따른 발전(예: 1952년 이승만 라인)이 한국의 주권을 확인한다고 주장합니다.
3. 군사 및 외교적 통제 : 실제로 한국은 군사적으로, 행정적으로 섬을 통제하는 반면, 일본은 외교 채널을 통해 주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영토 분쟁은 일본-한국 관계에서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결론
다케시마/독도 분쟁은 역사적 주장과 지정학적 고려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 섬이 20세기 초부터 자국 영토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명시적으로 포기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한국은 20세기 초 일본이 불법적으로 합병했다고 주장하는 이 섬과 역사적 유대 관계를 유지해 왔다고 주장합니다. 두 나라 모두 주장에 대해 강력한 민족주의적, 법적 이유가 있으며, 이 분쟁은 양국 관계에서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독도랑 지킴이랑
내인생의책 그림책 75권. 우리의 영토이자 대한민국 자주독립의 상징, 독도. 독도를 빼앗긴다면 우리나라는 자주 독립한 나라가 될 수 없다. 삽살개 ‘독도’와 ‘지킴이’와 함께 하는 독도 수
www.aladin.co.kr
ChatGPT
Question :
Discuss from a neutral standpoint the basis for Japan's claim that Takeshima is Japanese territory and the basis for Dokdo being Korean territory.
Answer :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the Takeshima/Dokdo islets involves Japan and South Korea, with each country asserting ownership based on different historical, legal, and geopolitical arguments. Both sides claim sovereignty over the same territory, known as Takeshima in Japan and Dokdo in South Korea. Here’s a neutral overview of the basis for both claims:
Japan’s Claim: Takeshima as Japanese Territory
1. Historical Presence: Japan claims that it has historical ties to the islets dating back to the 17th century. The Japanese government argues that Takeshima (also known as Liancourt Rocks) was incorporated into Japan’s administrative territory during the early 1900s, specifically in 1905. Before this, Japan contends that the islets were uninhabited and had been known and used by Japanese fishermen.
2. Treaty of Portsmouth (1905): Japan’s sovereignty claim is partly based on the assertion that Takeshima was recognized as part of Japan after the Treaty of Portsmouth (1905), which concluded the Russo-Japanese War. Japan argues that, while this treaty did not specifically mention Takeshima, the islets were under Japanese control and were marked as Japanese territory on maps in the period that followed.
3. Post-WWII Developments: After World War II, Japan lost many of its territories, but Takeshima was not explicitly included in the list of territories to be renounced under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1951), also known as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Japan asserts that this omission confirms its claim to the islets.
4.Control and Administration: Japan has maintained a position of administrative control over the islet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 continues to argue that Takeshima has been under its de facto control since it incorporated the islets into its territory in 1905.
South Korea’s Claim: Dokdo as Korean Territory
1. Historical Evidence: South Korea asserts that it has historical ties to Dokdo that predate Japan’s claim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oints to various record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897) and earlier, in which the islets were mentioned as part of Korean territory. South Korean documents refer to the islets as Usan-do, and claim that they were considered part of Korean territory in historical maps and administrative records. South Korea contends that the islets were controlled and administered by Korea well before Japan’s formal annexation in 1905.
2.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1910): South Korea argues that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10 and the subsequent incorporation of the islets into Japan's territory in 1905 were both acts of aggression. From South Korea’s perspective, the illegal annexation of Korea meant that Japan did not have legitimate claims over territories such as Dokdo.
3. Post-WWII Occupation: South Korea claims that after World War II, the islets were returned to Korean sovereignty. In 1952, South Korea established the Syngman Rhee Line, a maritime boundary that included the waters surrounding Dokdo. South Korea argues that the islets are an integral part of its territory and that it has effectively administered them since the 1950s.
4. Current Control: South Korea currently maintains a small police station on the islets, with South Korean citizens residing there and performing functions of sovereignty. South Korea sees its ongoing occupation of the islets as further proof of its rightful ownership.
Key Points of Dispute
1.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primary basis for the disagreement lies in differing historical interpretations. Japa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ts control over the islet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s administrative measures, while South Korea highlights its historical presence and governance, especially from the Joseon period, which it argues predates Japan’s formal control.
2. International Legal Context: The interpretation of international treaties and post-World War II settlements, such as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remains central to the dispute. Japan argues that the treaty’s failure to specifically mention Takeshima means it was not ceded, while South Korea claims that the post-war settlement and subsequent developments (e.g., the 1952 Syngman Rhee Line) confirm Korea’s sovereignty.
3. Military and Diplomatic Control: In practice, South Korea controls the islets militarily and administratively, while Japan continues to assert its claim through diplomatic channels. The territorial dispute remains a point of contention in Japan-South Korea relations.
Conclusion
The Takeshima/Dokdo dispute is rooted in both historical claims and geopolitical considerations. Japan asserts that the islets have been part of its territory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were not explicitly renounced after World War II.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it has maintained historical ties to the islets, which it claims were unlawfully annexed by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Both countries have strong nationalistic and legal reasons for their claims, and the dispute continues to be a significant issue in their bilateral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