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국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의 원천(세계 제조업의 비중)

내인생의책 2025. 4. 22. 15:59

중국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의 원천(세계 제조업의 비중)

미중 관세 전쟁이 날로 격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계속해서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KO를 노리고 강펀치를 휘두르는데, 중국에 먹혀들지 않은 형세입니다.

많은 분들이 중국의 시진핑이 버틸 수 이유를 언론이 많이 분석해서 대략적으로 알고 있을 것입니다. 언론은 중국의 미국으로의 수출 비중을 줄여왔고, 중국 제조업 생산 기지의 다변화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언론의 주장에 시원하게 수긍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시진핑이 진짜 버티는 힘의 원천을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64975

 

가난이 조종되고 있다 | 에드워드 로이스 - 교보문고

가난이 조종되고 있다 | 부의 재분배가 아닌, 권력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금수저, 은수저로 얘기되는 ‘수저계급론’이 세간에 자주 화제로 오르고 있다. 여기에 때를 맞추어, ‘복지에 관한 논

product.kyobobook.co.kr

미리 결론을 말씀드리면 미국이 중국을 꺾고 단시일에, 1, 2년 안에 혹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임기 안에, 세계 1위의 제조업 타이틀을 되찾기는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이런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트럼프도 이런 기본적인 수치는 알고 있을 텐데, 정말 트럼프가 관세 전쟁을 벌이는 이유가 세계 1위 제조업 대국의 타이틀을 되찾아 무역 적자를 줄이는 것일까, 아님 그 이유가 뭘까? 최소한 이 자료를 보면, 미국 도널드 트럼프 47대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벌이는 진짜 이유가 세계 제조업 1위 타이틀을 되찾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1) 글로벌 제조업 생산 비중 : 2023년 기준으로 보면 중국이 세계 제조업 생산 비중이 세계 1위인데 약 3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 2위로 약 16%입니다. 거의 두 배입니다. 솔직히 여기서부터 이거 결론이 이미 도출된 거 아니야 하는 불길한(?) 생각이 들더군요. 중국은 세계 제조업 생산 비중을 14년 연속 1위고, 미국은 2위이나 격차가 계속 벌어지는 추세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68

 

세계경제원론 1: 경제학 입문 | 바바라 고트프리트 홀랜더 - 교보문고

세계경제원론 1: 경제학 입문 | 경제를 알려면 세계경제를 알아야 합니다!청소년들이 경제를 원론부터 제대로 배우고, 나아가 올바른 경제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세계경제원론』 제1권 편.

product.kyobobook.co.kr

(2) 미국과 중국의 제조업 비중 변화

1) 2000년대 초반: 2000년에 중국의 제조업 비중은 약 6%였으나, 미국은 약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는 미국이 세계 제조업에서 여전히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시기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69

 

세계경제원론 2: 금융 시장 | 애론 힐리 - 교보문고

세계경제원론 2: 금융 시장 | 경제를 알려면 세계경제를 알아야 합니다!청소년들이 경제를 원론부터 제대로 배우고, 나아가 올바른 경제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세계경제원론』 제2권 편. 이

product.kyobobook.co.kr

2) 2010년대 중반: 중국의 비중은 20%를 넘어섰으며, 미국은 이 시기에 비약적인 성장세에도 세계 제조업 비중에서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제조업 종사자는 2000년 1,710만 명에서 2013년에는 1,200만 명으로 줄어드는 등 일자리 감소가 심각해졌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70

 

세계경제원론 3: 경제 주기 | 바바라 고트프리트 홀랜더 - 교보문고

세계경제원론 3: 경제 주기 | 경제를 알려면 세계경제를 알아야 합니다!청소년들이 경제를 원론부터 제대로 배우고, 나아가 올바른 경제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을 위한 세계경제원론

product.kyobobook.co.kr

3) 현재 : 2023년 기준으로 중국은 세계 제조업에서 31%의 점유율을 유지하며 단일 제조업 강국으로 자리매김한 반면, 미국은 16%로 뒤처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미국 제조업의 상대적 위축과 중국의 제조업 강세가 더욱 부각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71

 

세계경제원론 4: 세계화의 두 얼굴 | 데이비드 앤드류스 - 교보문고

세계경제원론 4: 세계화의 두 얼굴 | 경제를 알려면 세계경제를 알아야 합니다!청소년들이 경제를 원론부터 제대로 배우고, 나아가 올바른 경제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을 위한 세계

product.kyobobook.co.kr

(3) 제조업 부가가치 (Value Added) :중국이 약 4.9조 달러(2023년)고, 미국약 2.6조 달러(2023년)입니다. 중국이 미국의 약 2배 가까이 됩니다. 이 수치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때 뒤집기 가능한 수치일까 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듭니다. 미국이 중국을 제칠 수도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결코 쉽지는 않겠다입니다.

(1) 관세전쟁의 배경

미국은 중국의 제조업 팽창, 기술 굴기(굴기=일어서기)로 인한 미국 제조업의 약화, 무역적자 심화를 우려해 2018년부터 대중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은 이에 맞서 보복관세와 자국 내 공급망 강화, 첨단산업 육성('중국제조 2025')을 추진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63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3: 환율, 오르면 개인에게 이로울까? | 위문숙 - 교보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3: 환율, 오르면 개인에게 이로울까? |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 경제에 도움이 된다. vs 환율이 상승하면 인플레이션이 심해

product.kyobobook.co.kr

(2) 관세전쟁의 영향

1) 중국: 미국으로의 수출 감소와 일부 산업(전자, 기계 등)에 타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내수시장 확대와 동남아·유럽 등 대체 시장 개척, 공급망 다변화로 충격이 완화되었습니다. 게다가 첨단 제조업 투자 강화로 미국의 첨단 기술에서의 격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2) 미국: 중국산 저가 제품 가격이 상승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졌습니다. 일부 제조업의 리쇼어링(미국 내 회귀) 촉진하고 있으나 비용 상승과 공급망 혼란 불가피합니다. 일반 미국 소비자 부담 증가를 가져왔고, 일부 산업(농업 등) 타격을 받았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17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1: 돈의 전쟁 | 송종운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1: 돈의 전쟁 | 기축통화의 자리를 놓고 벌이는 총성 없는 전쟁. 누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로 부상할 것인가. 경제 패권을 차지하기 위

product.kyobobook.co.kr

※아래를 클릭하시면 글의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42754599

 

중국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의 원천(세계 제조업의 비중)

중국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버틸 수 있는 힘의 원천(세계 제조업의 비중) 미중 관세 전쟁이 날로 격화되고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