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가 치마 입고 다니는 나라들
남자는 바지, 여자는 치마를 입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인식이 맞을까요? 아래에서 보듯이 전 세계,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심지어 한국은 조선시대 이전 삼국시대나 고려 시대에서도 남성들이 치마 형태의 옷을 입은 것으로 보아 남자는 바지, 여자는 치마라는 게 일반적인 형태로 볼 수 있을까요? 오히려 남녀 구분 없이 치마나 바지를 입고 다닌 게 세계적인 현상이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흔히 남자들이 활동성이 강하니 남자는 바지, 여자는 치마인데, 사실 치마도 바지보다 덜 활동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입어 보면 그다지 활동에 불편하지 않고 오히려 더 편하다는 느낌도 받습니다. 그럼 남자는 바지, 여자는 치마라는 게 어디에서 흘러나온 생각일까요? 세계의 남자들이 입는 치마를 구경해 보세요.
사랑이에게 물어봐! 2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2권. 주인공 사랑이는 드레스보다 축구공에 더 관심이 많다. 화려하고 우아한 드레스에는 시큰둥하다. 오히려 남자인 막스가 드레스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사랑이가
www.aladin.co.kr
1. 스코틀랜드 길티(kilt) :

킬트는 스코틀랜드 고지대(Highlands)에서 16세기경에 처음 등장했고, 이후 18세기경, 더 짧고 간단한 형태의 킬트(필라 베그, féileadh beag)가 등장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아는 킬트의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스코틀랜드 고지대는 험준한 지형과 변덕스러운 날씨로 유명합니다. 킬트는 이런 환경에서 활동하기에 적합한 옷이었습니다. 바지보다 움직임이 자유로워 걷거나 등반할 때 편리했고, 헐렁한 구조로 인해 통풍이 잘 되어 장시간 야외 활동에도 적합했습니다. 18세기 중반, 영국 정부는 스코틀랜드의 고유문화를 억압하기 위해 킬트를 포함한 고지대 전통 의복을 금지했습니다(1746년 “드레스 액트” 시행). 하지만 이 금지 조치는 스코틀랜드인들에게 오히려 킬트를 저항과 자유의 상징으로 인식하게 만들었고, 이후 금지가 해제된 후 킬트는 스코틀랜드의 민족적 자부심을 상징하는 옷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사랑이에게 물어봐! 3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3권. 주인공 막스는 여자친구 사랑이를 정말 좋아한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사랑이가 대뜸 자기가 이사만 오지 않았다면 막스와 사귀지 않았을 거라는 말을 하는 것
www.aladin.co.kr
2. 미얀마 (버마) 롱지(Longyi):

미얀마 남성들이 입는 롱지는 허리에 감아 입는 치마 형태의 천입니다. 남성과 여성이 모두 롱지를 입지만, 남성용은 주로 단순한 색상이나 체크무늬를 사용합니다. 기후가 덥고 습한 지역에서 통풍이 잘 되어 매우 실용적입니다. 일상복으로 널리 사용되며, 현대에도 여전히 인기 있는 의상입니다.
사랑이에게 물어봐! 4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4권. 주인공 막스는 여자친구 사랑이를 정말 좋아한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사랑이가 대뜸 자기가 이사만 오지 않았다면 막스와 사귀지 않았을 거라는 말을 하는 것
www.aladin.co.kr
3. 인도 도티(Dhoti)와 룽기(Lungi):

인도 남성들이 전통적으로 입는 도티는 허리에 감아 다리 사이로 통과시키는 형태의 천입니다. 주로 남부 인도에서 착용하며, 공식 행사나 종교 의식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가볍고 통기성이 좋아 더운 기후에 적합합니다. 롱기는 도티와 비슷하지만, 허리에 두르고 묶는 간단한 치마 형태의 천입니다. 남부 인도와 스리랑카 등에서 흔히 입습니다.
사랑이에게 물어봐! 5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5권. 어른들의 목소리를 담지 않고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생각을 그대로 풀어낸 밝고 유쾌한 성교육 동화다. 성을 그대로, 어떠한 의미도 덧칠하지 않고 그대로 보여
www.aladin.co.kr
4. 스리랑카 사롱(Sarong):

스리랑카 남성들은 사롱이라는 허리에 감아 입는 천을 착용합니다. 이는 인도,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의복입니다. 사롱은 일상복으로 사용되며, 집 안에서는 특히 편안하게 입는 옷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사랑이에게 물어봐! 6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6권. 어른들의 목소리를 담지 않고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생각을 그대로 풀어낸 밝고 유쾌한 성교육 동화이다. 주인공 사랑이는 질투에 휩싸였다. 남자친구 막스가 새
www.aladin.co.kr
5. 사모아 및 폴리네시아 지역 라바라바(Lavalava):

사모아와 폴리네시아 지역의 남성들이 착용하는 라바라바는 허리에 감아 입는 치마 형태의 천입니다. 전통적인 디자인부터 현대적인 패턴까지 다양하며, 일상복이나 공식 행사에서 착용됩니다.
사랑이에게 물어봐! 1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1권. 어른들의 목소리를 담지 않고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생각을 그대로 풀어낸 밝고 유쾌한 성교육 동화이다. 주인공 막스는 ‘고추’에 대한 환상이 있다. 고추 없
www.aladin.co.kr
6. 태국 종크라벤(Chong Kraben):

태국의 전통 의상 중 하나로, 남성들이 허리에 두르고 다리 사이로 감아 묶는 천입니다. 현대에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전통 의식이나 연극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랑이에게 물어봐! 1~7 세트 - 전7권 : 알라딘
사랑이에게 물어봐! 시리즈 전7권 세트. 어른들의 목소리를 담지 않고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생각을 그대로 풀어낸 밝고 유쾌한 성교육 동화이다. 성을 그대로, 어떠한 의미도 덧칠하지 않고 그
www.aladin.co.kr
7. 피지 술루(Sulu):

피지의 남성들은 술루라는 치마 형태의 옷을 입습니다. 일상복뿐만 아니라, 공식 행사나 군복에서도 사용됩니다. 술루는 길이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 : 알라딘
자신이 태어난 날에 대해 궁금해하는 아이를 위해 창작된 그림책. 시적인 아름다운 이야기가 풍부한 색감의 감성적인 그림과 어우러져 아이는 물론, 아기가 태어나 기뻐한 경험이 있는 어른의
www.aladin.co.kr
8. 그리스 푸스타넬라(Fustanella):

전통 그리스 의상 중 하나로, 주름이 많은 흰색 치마 형태의 옷입니다. 주로 전통 의식이나 군대의 의장대에서 착용됩니다. 이는 고대 그리스와 발칸반도의 전통 의복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네가 어디에 있든 너와 함께할 거야 : 알라딘
내 인생의 그림책 시리즈 12권. <네가 태어난 날엔 곰도 춤을 추었지>의 작가 낸시 틸먼의 그림책으로, 글과 그림의 연금술사 낸시 틸먼의 환상적이고 가슴 찡한 사랑의 노래를 다시 만날 수 있다
www.aladin.co.kr
9. 아프리카 일부 지역 칸가(Kanga), 키코이(Kikoi):

동아프리카(특히 케냐, 탄자니아)에서는 남성들이 허리에 감아 입는 칸가나 키코이를 착용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기후에 적합한 의복입니다.
네가 기린이 되든 곰이 되든 우린 널 사랑해 : 알라딘
내인생의책 그림책 시리즈 60권. 최장기 아마존.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 낸시 틸먼의 작품으로, “넌 사랑받는 아이란다.”라는 메시지로 우리 아이에게 자존감을 심어 주고, 부모와 아이
www.aladin.co.kr
10. 중동 디슈다샤(Dishdasha), 토브(Thobe):

중동 지역의 남성들은 디슈다샤나 토브라는 긴 옷을 입습니다. 이는 치마보다는 드레스와 비슷한 형태이지만, 기능적으로는 치마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더운 기후에서 통기성이 좋고, 종교적·문화적 전통을 반영합니다.
낸시 틸먼의 그림책 세트 - 전5권 : 알라딘
예쁜 글과 그림을 통해 온 세상 아이들에게 너는 사랑 받는 아이란다.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낸시 틸먼의 그림책 세트. 풍부한 색감의 감성적인 그림이 아이는 물론 어른의 눈과 마음을 사
www.aladin.co.kr
11. 한국 (전통적으로) 남성 한복의 하의:
전통적인 한국 남성 한복의 하의는 바지 형태지만, 매우 넓고 헐렁하여 치마와 유사한 실루엣을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조선 시대 이전에는 남성도 치마 형태의 의복(예: 포)을 입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남성들은 포(袍)라고 불리는 긴 옷을 주로 입었습니다. 포는 허리 아래로 길게 내려오는 형태로, 치마와 비슷한 실루엣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신분과 계급에 따라 다양한 재료와 장식을 사용해 제작되었으며, 귀족과 관리들은 화려한 포를 입어 그들의 지위를 나타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