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갈라진 역사와 유사해서 눈물겨운 인도/파키스탄 간략 분리사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는 1947년 영국의 인도 식민지 통치가 종식되면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으로, 인도 아대륙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분열을 초래한 비극사입니다.

1. 배경
(1) 영국의 식민지 지배: 18세기 말부터 인도는 영국 동인도 회사와 이후 영국 정부의 식민통치를 받았습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이르러 인도 국민회의(Congress Party)와 이슬람교 중심의 전인도 무슬림 연맹(All-India Muslim League)이 독립운동을 주도하게 됩니다.
(2) 종교적 갈등: 인도는 다종교 사회이지만, 힌두교와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입니다. 힌두교도가 인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지만, 이슬람교도도 역시 상당한 인구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이슬람교도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독립을 원했습니다.
하지만 인도의 힌두교와 이슬람교 갈등의 기저에는 영국의 치밀한 "분할하여 통치하라(Divide and Rule)"는 식민지 지배의 전략이 깔려 있습니다. 많은 제국주의 국가처럼 영국도 "분열을 조장" 하여 통치를 더 쉽게 하려는 전략을 가동했고. 이 전략은 전형적인 것입니다.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의 서로 다른 민족이나 종교, 언어 집단 간의 갈등을 부추겨, 서로 싸우게 만들어, 통치자에 대한 저항을 약화시키고자 합니다.
빌랄의 거짓말 : 알라딘
이르판 마스터의 장편소설. 세 살 인도 소년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거짓말. 역사적 격동 속에서도 꿋꿋했던 한 소년의 성장 이야기이자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 이야기다. 흔한 연인들의 사랑
www.aladin.co.kr
(3) 무슬림 연맹의 요구: 무슬림 연맹은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슬림이 다수인 지역의 독립국가를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요구는 1940년 "라호르 결의안(Lahore Resolution)"에서 처음 명확히 제시되었으며, 이후 파키스탄이라는 이름으로 구체화되었습니다.
2. 분리 과정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은 경제적, 정치적으로 약화되었고, 인도의 식민지 통치를 지속하기 어려웠습니다. 1946년에는 인도 전역에서 독립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폭력 사태도 빈번해졌습니다. 영국은 인도 독립 후에도 자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제국주의 국가처럼 인도를 분리하여 두 독립 국가 간의 갈등이 지속되도록 덫을 놓아야 했습니다. 그래야 자국이 중재자 또는 조정자 역할을 하며 인도 독립 후에도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전략은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남한 북한, 남베트남 북베트남 등에서 자행된 제국주의의 전형적인 지배 통치술입니다.
바벨탑의 쪽방 : 알라딘
푸른봄 문학 시리즈 18권. 2010년 스페인 어린이.청소년 문학상 수상작으로, 스페인으로 불법 이민에 성공한 십 대들의 삶을 작품 속에서 밀도 있게 그려냈다. 상대방의 삶을 받아들여 자신의 삶
www.aladin.co.kr
● 마운트배튼 계획(1947): 영국의 마지막 인도 총독인 루이스 마운트배튼(Louis Mountbatten)은 제국주의 전략에 따라 인도를 종교적 선에 따라 나누는 분할 계획을 제안했습니다. 이 계획은 힌두교 중심의 인도와 이슬람교 중심의 파키스탄으로 나누는 것이었습니다.
● 분할 결정: 1947년 6월, 인도 국민회의와 무슬림 연맹은 마운트배튼의 분할 계획을 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1947년 8월 15일, 인도와 파키스탄이 각각 독립 국가로 선언되었습니다.
어떤 여자가 왔었다 : 알라딘
푸른봄 문학 24권. 조산 라 밸리 소설. 중국의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에서 한 위구르 여자아이를 만난 뒤 집필한 작품이다. 단 한 명의 인정과 지지만으로 인간이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는지, 꿈
www.aladin.co.kr
3. 분리의 결과
1) 국경 설정
● 시릴 래드클리프의 역할: 영국 정부는 변호사이자 행정가인 시릴 래드클리프(Cyril Radcliffe)를 임명해 인도와 파키스탄의 국경선을 긋도록 했습니다. 그는 이전에 인도를 방문한 적이 한 번도 없었고, 이 지역의 사회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백지상태에서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 래드클리프 라인: 국경선은 주로 종교적 인구 분포(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지역의 경제적, 지리적, 문화적 요소는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펀자브와 벵골 지역은 종교적으로 혼합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국경 설정이 더욱 복잡했습니다.
그녀의 정의 : 알라딘
<인도의 딸>의 작가 글로리아 웰런의 장편소설이다. 작가 글로리아 웰런은 국가에 권력이 필요 이상으로 주어졌을 때 국가가 개인의 삶에 어떻게 침투하는지를 간결하고 알기 쉽게 들려주며, 국
www.aladin.co.kr
● 급박한 작업: 래드클리프는 단 5주 만에 두 국가의 국경선을 결정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인도 파키스탄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국경선은 갑작스럽게 발표되었고, 이는 사실상 혼란과 폭력이라는 대형 폭탄을 투척한 꼴이었습니다.
● 문제점: 국경선은 마을, 가족, 농지 등을 분리시키며 지역 주민들의 일상을 송두리째 절단시켰습니다. 특히, 펀자브 지역은 힌두교도, 시크교도, 이슬람교도가 모여 살았기 때문에 분리는 더욱 고통스러운 과정이었습니다.
※아래를 클릭하시면 글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11996573
남북한 갈라진 역사와 유사해서 눈물겨운 인도/파키스탄 간략 분리사
남북한 갈라진 역사와 유사해서 눈물겨운 인도/파키스탄 간략 분리사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는 1947년 영...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