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에 2,000여 건의 지진 기록이 있는 이유가?
조선왕조실록에 약 2,000여 건의 지진 기록이 남아 있는 이유는 조선 시대의 특수한 정치적, 사회적, 학문적 배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9: 자연재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은 | 안토니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9: 자연재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은 | 자연재해에 대해 알아봐요!아이들을 글로벌 교양인으로 키우는 「세더잘」 제9권 『세상에 대하여 우리
product.kyobobook.co.kr
1. 천재(天災)를 정치적 징조로 간주
조선 시대에는 유교적 세계관에 따라 자연재해를 왕조의 통치와 연결지어 해석했습니다.
천인감응(天人感應) 사상: 유교에서는 하늘(天)이 인간의 정치와 도덕적 행위를 감찰한다고 믿었습니다. 군주는 하늘의 대행자라 왕권을 견제할 제도가 마땅하지 않아 하늘은 지진, 홍수, 가뭄 같은 자연재해로 왕이나 조정의 잘못된 정치나 도덕적 결핍에 대해 경고한다고 여긴 것입니다.
왕의 책임: 지진이 발생하면 왕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반성문(사죄문)을 작성하거나, 백성들에게 사면령을 내리는 등 정치적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진을 포함한 자연재해는 반드시 기록되어야 했고, 그래서 실록에 꼼꼼히 남게 되고 그 수가 2,000건이 넘었던 것입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3: 해양석유시추 문제는 없는 걸까? | 닉 헌터 - 교보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3: 해양석유시추 문제는 없는 걸까? | 신개념 아동ㆍ청소년 인문교양서 「세더잘 시리즈」 제33권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해
product.kyobobook.co.kr
2. 조선왕조실록의 지진 기록들
1) 태종 10년(1410년) 6월 15일 지진
● 기록 내용: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지진이 발생하였다. 땅이 흔들리고 건물이 요동쳤으며, 백성들이 크게 놀랐다."
※아래를 클릭하시면 글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764329014
조선왕조실록에 2,000여 건의 지진 기록이 있는 이유가?
조선왕조실록에 2,000여 건의 지진 기록이 있는 이유가? 조선왕조실록에 약 2,000여 건의 지진 기록이 남아...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