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에 기반을 둔, 아니 진실을 올리더라도?
한국에서는 사실에 기반을 둔, 아니 백프로 진실을 올리더라도 포털 사이트에서 임시제한을 걸어 확산을 막습니다. 기업이나 공인이 자신에 대한 비판적 글을 없애기 위해 포털 사이트에 신고만 하면 약 30일간 게시물에 접근 제한 등의 임시조치가 내려집니다. 이러면 사실상 그 글은 생명이 다하게 됩니다. 표현의 자유가 억압되고 일반 국민의 알 권리가 너무나 쉽게 사라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해외에는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려는 정책을 강화한 플랫폼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게시물 삭제 요청에 대해 보다 엄격한 검토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권리를 최대한 보호합니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하면서도, 표현의 자유가 위축되지 않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몇 가지 주요 사례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6: 소셜 네트워크 어떻게 바라볼까? | 로리 하일 - 교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6: 소셜 네트워크 어떻게 바라볼까? | 서울에 사는 중학생 김모 군은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의 근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일들이
product.kyobobook.co.kr
1. 해외 소셜 미디어 플랫폼
(1) 엑스X
엑스X는 표현의 자유를 중요하게 여기는 플랫폼 중 하나로, 특히 공익적인 발언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정책 특징: 정부나 개인의 요청에 의해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대신 특정 국가에서만 접근을 제한하는 방식(Geo-blocking)을 도입했습니다. 삭제 요청을 받은 게시물에 대해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투명성 보고서(Transparency Report)를 주기적으로 발표합니다. 여기에는 삭제 요청 건수와 그에 대한 처리 결과가 포함됩니다.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공익성이 인정되는 경우, 게시물이 명예훼손 주장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합니다.
※아래를 클릭하시면 글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752970968
사실에 기반을 둔, 아니 진실을 올리더라도?
사실에 기반을 둔, 아니 진실을 올리더라도? 한국에서는 사실에 기반을 둔, 아니 백프로 진실을 올리더라도...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