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유를 소화 시키는 사람이 돌연변이라고?

내인생의책 2025. 5. 7. 14:11

우유를 소화 시키는 사람이 돌연변이라고?

우유는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식품이지만,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이 숨겨져 있습니다. 유당불내증도 그중 하나입니다. 그 외 상식적으로 알고 있으면 좋을 것들도 정리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50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2: 우유 | 프랑수와 로랑 - 교보문고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2: 우유 |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제2권 《우유》. 단순히 우유의 영양만을 설명하는 책이 아닙니다. 우리가 매일 마시는 우유를 생산해 내는 젖소의 희생을 자세히 소

product.kyobobook.co.kr

1. 유당불내증이 인류의 '정상'이었던 이유

성인이 되어서도 우유를 소화할 수 있는 유전자는 인류 진화 과정에서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돌연변이입니다. 이걸 유당불내증이라고 하는데, 소화효소인 '락타아제(lactase)' 분비가 줄어들어 우유 속의 유당(락토스)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인간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포유류는 젖을 먹는 아기 시기 이후에는 락타아제 분비가 줄어들어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게 됩니다. 실제로 인간도 아기 때만 락타아제를 분비하다가, 성인이 되면 분비가 주는 것이 '정상'이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58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3: 달걀 | 필립 시몽 - 교보문고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3: 달걀 |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제3권《달걀》.단순히 달걀의 영양만을 설명하는 책이 아닙니다. 우리가 매일 먹는 달걀을 낳는 암탉의 희생을 자세히 소개하지요. 이

product.kyobobook.co.kr

1) 락타아제 지속성(Lactase Persistence)의 출현

약 7,000~10,000년 전,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면서 성인이 된 뒤에도 락타아제를 계속 분비할 수 있는 유전자 변이가 일부 인구 집단에서 나타났습니다. 이 돌연변이는 유럽, 북아프리카, 일부 중동 지역에 많이 퍼졌습니다. 이 지역 성인들은 우유를 마셔도 탈이 나지 않게 되었고, 이는 영양 섭취에 큰 이점으로 작용하였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62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4: 빵 | 프랑수아즈 로랑 - 교보문고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4: 빵 | 빵 하나에도 환경과 철학이 담겨 있다고요?빵집에서는 언제나 빵 굽는 냄새가 솔솔 납니다. 밀가루에 물을 쪼르륵, 소금을 약간 치고 이스트만 넣으면 맛있는 빵이

product.kyobobook.co.kr

2) 전 세계 유당불내증 인구 비율

전 세계적으로 약 65%의 성인이 유당불내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우유를 잘 소화하는 능력은 인류 전체로 보면 '특이한' 능력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67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5: 사과 | 안느-클레르 레베크 - 교보문고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5: 사과 |

product.kyobobook.co.kr

3) 재미있는 점

유럽인의 우유 소화 능력은 '문화적 진화'와 '생물학적 진화'가 결합된 사례로, 인류 진화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예시로 꼽힙니다.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치즈, 요구르트처럼 유당이 분해된 유제품은 비교적 잘 먹을 수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73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6: 꿀 | 프랑수와즈 로랑 - 교보문고

맛있는 어린이 인문학 6: 꿀 | 꿀벌이 사라지면 식물도 사라져요!꿀벌은 우리에게 달콤한 벌꿀을 만들어 주어요. 벌꿀은 피로회복과 면역력 강화에 좋지요. 그뿐인가요? 꿀벌은 꽃가루 수분의 주

product.kyobobook.co.kr

2. 우유에도 계절에 따라 맛이 다르다

소가 먹는 사료(건초, 신선한 풀 등)와 계절에 따라 우유의 맛과 향이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봄과 여름에는 신선한 풀을 먹어서 더 고소하고 신선한 맛이 난다고 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81

 

쌀 | 프랑수아즈 로랑 - 교보문고

쌀 | 매일 먹는 쌀 속에 우리의 미래가 담겨 있어요!갓 지은 따스한 밥에 반찬을 얹어 쓰윽! 한국인의 식단에 가장 어울리는 주식은 쌀이죠. 쌀은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음식이랍니다. 전 세계 사

product.kyobobook.co.kr

3. 우유의 색깔은 완전히 하얗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