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녀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
제주 해녀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점들이 많습니다. 아래에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1. 해녀의 연령대와 세대 전승
● 과거에는 10대부터 시작: 20세기 초중반만 해도 초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13~15세) 해녀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어릴 때부터 바다에 들어갔죠.
● 현재는 고령화: 2024년 기준 제주 해녀의 평균 연령은 60~70대입니다. 80세가 넘어서도 바다에 나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 전승의 위기: 젊은 세대가 해녀를 기피하면서, 해녀 문화가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최근에는 해녀학교, 해녀 체험 등을 통해 젊은 해녀를 양성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한라산의 눈물 | 이규희 - 교보문고
한라산의 눈물 | 『한라산의 눈물』은 제주 4·3 사건을 어른들의 시선이 아닌 어린이의 눈높이로 풀어낸 책입니다. 당시 제주 상황을 정치나 이념을 떠나 순수한 어린이들의 시각으로 그려 내면
product.kyobobook.co.kr
2. 해녀의 계급과 숙련도
해녀는 숙련도에 따라 상군(上軍), 중군(中軍), 하군(下軍)으로 나뉩니다. 상군 해녀는 깊은 바다까지 들어가 고급 해산물을 채취하고, 하군은 얕은 곳에서 일합니다. 이 계급은 경험과 능력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됩니다.
● 상군: 10m 이상의 깊은 바다까지 잠수, 전복·소라 등 고가의 해산물을 채취합니다.
● 중군: 중간 깊이(5~10m)에서 활동, 주로 소라, 해삼 등을 잡습니다.
● 하군: 얕은 바닷가(5m 이하)에서 미역, 톳 등 해조류를 채취합니다.
숙련도와 건강 상태에 따라 계급이 오르내릴 수 있으며, 상군 해녀는 마을에서도 존경을 받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26
귀신고래 | 김일광 - 교보문고
귀신고래 | 포항시 2008년도 원북 선정 도서이 이야기는 실존했던 포경선 '용운호' 선장 김준기 옹의 구술을 기록했던 권선희 시인의 녹취문(포항문학 23호, 2003)을 토대로 김일광 선생이 지었습니
product.kyobobook.co.kr
3. 해녀 소리(노동요)
● 노동의 리듬: 해녀들은 물질(잠수 작업) 전후로 ‘해녀 소리’를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이어도 사나” 등이 있습니다.
● 소통의 도구: 해녀 소리는 서로의 안전을 확인하거나, 작업의 시작·종료 신호로도 사용됩니다.
● 문화유산: 해녀 소리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33
독립군 소녀 해주 | 이규희 - 교보문고
독립군 소녀 해주 | 이름은 없지만, 독립을 위해 애쓴 우리 모두의 독립운동 이야기『독립군 소녀 해주』. 이 대감댁 머슴의 딸로 태어난 해주는 분희 언니랑 장에 가는 게 유일한 낙인 열두 살
product.kyobobook.co.kr
4. 숨비소리와 잠수 장비
● 숨비소리: 해녀가 물 밖으로 나올 때 “휘-익” 내뱉는 날카로운 소리. 이산화탄소를 빨리 배출하고 산소를 들이마시기 위한 독특한 호흡법입니다.
● 무호흡 잠수: 산소통 없이 1~2분, 상군 해녀는 3분 가까이 잠수하기도 합니다.
● 물옷(잠수복) : 예전에는 솜옷(물적삼)을 입었으나, 현재는 두꺼운 고무(네오프렌) 잠수복을 착용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05
나는 버텨낼 거야 | 발레리 홉스 - 교보문고
나는 버텨낼 거야 | 《나는 버텨낼 거야》는 늑대의 선택을 막아 내야만 하는 양치기 개 잭의 숙명적인 대결을 담은 이야기다. 나이 든 양치기 개인 잭의 삶은 겉보기에 평화롭고 한가로워 보인
product.kyobobook.co.kr
● 테왁 : 해녀가 바다에 뜨게 하는 부력구로, 주황색 플라스틱 공에 그물을 감싼 형태. 채취한 해산물을 담는 그물망 역할도 합니다.
● 망사리 : 채취한 해산물을 담는 그물주머니로, 테왁에 매달아 사용합니다.
● 물안경(안경) :유리로 된 작은 렌즈를 사용하며, 근시용/노안용도 있습니다.
● 빗창 : 전복, 소라 등을 떼어내는 쇠꼬챙이 도구.
● 호미 : 미역, 톳 등 해조류를 채취할 때 쓰는 작은 낫.
● 오리발(발갈퀴) 수영을 도와주는 보조장비. 예전에는 맨발로 작업하기도 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32
열한 살의 아빠의 엄마를 만나다 | 케빈 헹크스 - 교보문고
열한 살의 아빠의 엄마를 만나다 | 『열한 살의 아빠의 엄마를 만나다』는 할머니의 죽음을 통해 열한 살에 처음으로 인생의 깊이를 맛보는 이야기입니다. 사흘이 멀다 하고 만났던 할머니가 심
product.kyobobook.co.kr
5. 해녀의 사회적 위치와 공동체
● 가부장제 속 여성 중심: 제주에서는 남성보다 해녀가 더 많은 소득을 올렸고,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해녀 마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성산읍 오조리, 한림읍 협재리, 우도 등 제주 곳곳에 해녀 마을이 분포합니다.
● 공동체 운영: 해녀들은 ‘해녀회’라는 조직을 만들어 작업 구역, 어획량, 분배 등을 스스로 결정하고, 분쟁 조정, 복지 활동도 했습니다.
● 상호 부조: 해녀가 사고를 당하면 공동체가 장례비, 생활비를 모아 지원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017
랄슨 선생님 구하기(책가방 문고 6) | 앤드루 클레멘츠 - 교보문고
랄슨 선생님 구하기(책가방 문고 6) |
product.kyobobook.co.kr
※아래를 클릭하시면 글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43530319
제주 해녀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
제주 해녀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 제주 해녀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점들이 많습니다.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