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지진의 원인 :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만남
미얀마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에 속합니다. 미얀마의 지질학적 위치와 활성 단층대 때문입니다. 미얀마에서 지진이 왜 많이 일어나는지 보겠습니다.

1. 미얀마의 지질학적 위치
미얀마는 지구의 주요 판인 인도판(Indian Plate)과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의 경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두 판의 충돌과 이동이 미얀마의 지진을 유발합니다. 주로 인도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하강) 하거나 충돌하면서 미얀마 지역에 강한 지각 변동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판의 움직임이 히말라야산맥과 같은 고지형을 형성하는 동시에, 미얀마 지역에 지속적으로 지진을 불러오는 원인이 됩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자연재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은? : 알라딘
세더잘 시리즈 9권. 자연재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인문학적으로 꿰어보는 자연재해 통합서이다. 자연재해를 둘러싼 체계적인 논의를 통해 인문학적인 성찰을 유도하고 있다. 자연재해가 무
www.aladin.co.kr
2. 미얀마의 주요 단층대
미얀마에는 여러 활성 단층(active fault)이 존재하며, 특히 다음 단층들이 미얀마 지진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1) 사가잉 단층(Sagaing Fault)
미얀마에서 가장 활동적인 단층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미얀마를 가로지르는 단층입니다. 이 단층은 횡단 단층(Strike-Slip Fault)으로, 지각이 수평으로 움직이며 강한 지진을 유발합니다. 사가잉 단층은 미얀마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큰 지진과 관련이 있습니다.
(2) 중앙 저지대 단층(Central Lowlands Fault)
미얀마 중부 지역에 위치한 단층으로, 사가잉 단층과 함께 지진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아라칸 단층(Arakan Trench)
미얀마 서부 해안 지역에서 인도판이 섭입하면서 형성된 단층으로, 해저 지진과 쓰나미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에너지 위기, 어디까지 왔나? : 알라딘
세더잘 시리즈 7권. 현재 세계의 에너지 보유 현황과 화석 연료의 문제점, 재생 에너지의 가능성과 한계를 샅샅이 탐구한다. 한발 나아가 말만 무성한 에너지 위기가 대체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
www.aladin.co.kr
3. 미얀마의 지진 역사
미얀마는 과거에도 크고 작은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한 역사가 있습니다.
● 1930년 바고 지진: 규모 7.3의 강진으로 약 500명이 사망했으며, 미얀마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 2016년 중부 미얀마 지진: 규모 6.8의 지진으로 많은 문화유산과 건축물이 파괴되었습니다.
● 2011년 샨 주 지진: 태국 국경 근처에서 규모 6.9의 지진이 발생해 약 75명이 사망했습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해양석유시추, 문제는 없는 걸까? : 알라딘
석유 고갈 문제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해양석유시추의 이면을 낱낱이 파헤친다. 우선 우리가 어렴풋이 알고 있는 해양석유시추가 어떤 것인지 설명하고 작업 과정을 기술하여 청소년들이 해양
www.aladin.co.kr
4. 결론
미얀마는 지진이 많은 나라로 분류되며, 이는 지질학적 위치와 활성 단층의 존재 때문입니다. 특히, 사가잉 단층과 판 경계 활동은 미얀마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미얀마는 지진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이에 대한 대비와 경계가 중요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85 세트 - 전85권 : 알라딘
전국사회교사모임 등이 번역하고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감수에 참여했다. 해당 테마를 단순하게 규정하지 않고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에서 설명하며, 연관된 국제.사회 이슈와 함께 다
www.aladin.co.kr
※아래를 클릭하시면 관련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14024087
미얀마 지진의 원인 :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만남
미얀마 지진의 원인 :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만남 미얀마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에 속합니다. 미얀...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