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적정기술로 세계적인 스타가 안 나오는 이유

내인생의책 2025. 3. 22. 10:27

적정기술로 세계적인 스타가 안 나오는 이유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은 지역의 자원, 문화, 환경, 경제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 기술로, 주로 개발도상국이나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근데 좋은 취지인데, 인류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기술이고, 그걸 개발하는데 무지 많은 노고가 들었는데 결과는 왜 시원찮을까요? 왜 적정기술로 유명한 세계적인 스타가 배출이 안 될까요?

이 점이 항상 애타는 지점인데요. 그 이유 가운데 하나가 적정기술이 현지 문화와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다시 말해서 공급자 중심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힘들게 개발된 결과물이 헛발질로 이어질 수도 있겠다 싶어 이 글을 적습니다.

http://aladin.kr/p/kF6se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적정기술, 모두를 위해 지속가능해질까? : 알라딘

세더잘 시리즈 25권.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을 돕기 위해 고안된 적정기술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청소년들에게 생소할 수도 있는 적정기술의 개념과 역

www.aladin.co.kr

1. 적정기술의 성장이 더딘 원인

1) 공급자 중심적 접근:

외부 전문가들이 현지 상황을 깊이 이해하지 못한 채, 공급자들의 자신만의 관점에서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기술을 설계합니다. 그리고 이게 잘 사는 나라의 기술자가 못 사는 나라의 사람들을 위해 베푸는 무슨 "시혜"로 생각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그러다 보니 현지 주민들의 문화, 전통, 관습을 무시하거나 충분히 고려하지 않습니다.

2) 현지 요구와의 불일치:

기술 도입 이전에 현지 주민들의 실질적인 필요와 문제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주민들이 기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기존의 생활 방식과 너무 다르면 기술을 사용하지 않게 되고 힘들게 개발한 기술은 사장될 수밖에 없습니다.

http://aladin.kr/p/RFq8D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 알라딘

세더잘 시리즈 1권. 우리 아이들이 일상에서 접하는 초콜릿과 축구공이 가난한 아프리카와 제3세계 나라 어린이들의 눈물겨운 노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자연스럽게 무역과 세

www.aladin.co.kr

3) 의사소통 부족:

현지 주민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기술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주민들은 기술의 목적이나 사용법을 이해하지 못하고, 적정기술이 자신들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깨닫지 못합니다. 그럼 "지들이 뭔데, 우리에게 이런 걸 제공하지?", "우리가 불쌍해 보이나, 더럽게 잘난 체하네." 하는 생각을 안 할 수 없습니다.

http://aladin.kr/p/DG3et

 

춤추는 운동화 : 알라딘

내인생의 그림책 시리즈 49권. 우간다의 어느 작은 마을, 카토는 아침 일찍 일어나 마을 우물로 향한다. 그곳에서 하루 동안 쓸 물을 빈 물통 두 개에 받는다. 지친 카토는 먼지가 묻고 뜨거워진

www.aladin.co.kr

2. 구체적인 사례

1) 정수 기술 실패 사례:

깨끗한 물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정말 그럴듯한 정수기나 현지의 여러 사정을 고려한 정수 시스템이 되레 현지 주민들에게 외면받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를 보면, 주민들은 기존의 물이 "깨끗하다"라고 믿으며, 정수 과정이 불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기엔, 물이 탁해 더럽고 병균이 많아 보이지만, 실제 그걸 마시는 사람들은 평생을 마셔왔는데, 병도 안 걸리고 잘만 살아왔는데, 자신들의 물을 더럽다고 손가락질을 하니 자존심이 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건 극단적인 예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외국에 나가서 물을 사서 마시는 이유 가운데 가장 큰 이유는 현지 물이 더러워서가 아니라, 우리의 면역력과 달라 소위 "물갈이"를 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현지 물이 더러운지, 한국의 수돗물보다 깨끗한지 개인적으로 검사할 생각을 하지도 않았고, 방법도 없습니다. 하지만 적정기술을 이용한 정수기나 정수 시스템은 우리의 노력과 자본이 들어갑니다. 그런 현지 조사를 더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수 과정이 번거롭거나 시간 소모적이라면 느끼면, 어떤 주민들은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물 사용 방식을 고수합니다. 정수 기술이 지역적 관습(예: 물을 특정 장소에서만 길어오는 전통)을 무시하면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물을 길어가서 물만 길러오는 게 아닙니다. 거기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 사회적인 스킨십을 하고 정보를 유통합니다. 이런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http://aladin.kr/p/JGvyS

 

나도 학교에 간다 : 알라딘

소외된 세상에 사는 아이들의 아픔과 상처를 가장 따뜻한 방법으로 알려준다. 주인공 나쌀리의 모습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빈곤국의 수많은 소녀들의 모습을 대신하고 에이즈에 걸려 돌아가신

www.aladin.co.kr

※아래를 클릭하면 글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05709525

 

적정기술로 세계적인 스타가 안 나오는 이유

적정기술로 세계적인 스타가 안 나오는 이유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은 지역의 자원, 문화, 환...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