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1호가 될까요?(LA 미 연방군 투입)

내인생의책 2025. 6. 9. 23:25

 

트럼프, 1호가 될까요?(LA 미 연방군 투입)

미국 민주주의의 실상을 우연찮게 많이 대하다 보니 깜짝 놀라는 일이 많습니다.

"와! 미국이 이것밖에 안 되는 나라였어." 싶어 선망의 대상이었던 미국은 이미 오래전에 현실의 바닥에까지 내려와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느낌은 아마 저의 느낌만은 아닐 겁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84

 

네모의 네모의 네모 | 엘레오노르 두스피스 - 교보문고

네모의 네모의 네모 |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문제가 없을까?영국 글로벌 조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올 2020년 1월 22일 발표한 민주주의 지수 2019(Democracy Index 2019)에 따르면

product.kyobobook.co.kr

오늘도 LA 대규모 시위를 유튜브로 보면서 저 장면은 우리나라 198, 90년대 장면인데, 안타깝다는 생각도 들고, 뭐야, 민주주의는 우리나라보다 미국이 못하나 싶기도 하고.

어제 트럼프가 LA 시위를 진압한다고 연방 군대를 동원한다는 뉴스를 보고 다시 한 번 깜짝 놀랐는데요. 이제 우리나라 대통령들은 시위 때문에 군대를 동원해 국민을 탄압하겠다는 발상 자체를 안 하겠죠? 민주주의란 게 원래 확립했다고 해서 지속이 안 되는 것을 절감했던 최근의 국민 경험인지라 ...또 모를 일이죠?

미국인들은 민주화 운동이나 권력자에 맞서 대통령을 자리에서 끌어내린 경험이 없지 않나 살펴보았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43

 

장벽: 세상에서 가장 긴 벽 | 잔카를로 마크리 - 교보문고

장벽: 세상에서 가장 긴 벽 | 분리, 배제. 그 욕망에서 시작된 벽. 인류는 오래전부터 벽을 세워 왔습니다. 인종, 민족, 문화, 종교, 사상 등에 따라 서로를 분리하고 배제하려는 욕망은 어느 시대

product.kyobobook.co.kr

1. 미국의 민주화 운동

미국의 민주화 운동은 우리처럼 권력자의 폭압이나 폭정에 맞서 싸운 경험을 없습니다. 주로 인권,참정권 운동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습니다. 국민의 직접적인 저항을 부른 독재자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미국은 18세기 후반 독립전쟁(1775~1783)과 함께 일찍감치 민주주의 체제를 구축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민주주의 확대 운동은 주로 흑인 민권운동, 여성 참정권 운동, 노동운동, 반전운동, 성소수자 권리 운동 등의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그들은 권력자의 독재보다는, 법·제도·사회적 차별에 맞서 싸운 것이 한국과 다른 특징이라고 하면 특징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29

 

세상에서 제일 작은 점(DOTS) | 지안카를로 마크리 - 교보문고

세상에서 제일 작은 점(DOTS)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점이 그린 세상에서 가장 큰 세상. 검은 점과 하얀 점. 우리는 모두 점이에요. 하지만 모든 점의 형편은 같지 않아요. 잘사는 점이 있는 반면, 잘

product.kyobobook.co.kr

2. 권력자와 정면 충돌보다는 “제도 내 투쟁”

미국 시민운동은 주로 의회, 법원, 언론, 선거 등 제도적 틀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대통령의 폭압에 맞서는 “민주화 운동”이 아니라 “시민권 운동”의 성격이 강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33

 

난민87 | 엘르 파운틴 - 교보문고

난민87 | 소위 난민이라는 사람은 한 개인의 힘으로는 도저히 불가항력적인 국가의 폭행에 의해서 난민 상황에 처하게 된다. 대부분의 독재 국가는 끊임없이 시민을 폭압하고 탄압한다. 시에라

product.kyobobook.co.kr

3. 권력자를 자리에서 내려오게 한 경험

미국은 대통령을 강제로 끌어내리는 쿠데타나 혁명은 없었지만, 법적·정치적 절차를 통해 권력자를 자리에서 물러나게 한 경험은 한 번 있습니다. 그것도 국민들이 직접 나서서 끌어내린 것은 아닙니다. 1974년 워터게이트 사건 때 닉슨 대통령을 사임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닉슨은 탄핵 위기에 몰리자 대통령이 스스로 사임해버린 것입니다. 이는 미국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대통령 사임 사건입니다. 다시 말해 미국인들은 자신들의 힘으로 한 번도 대통령을 1호로 만든 경험은 없는 겁니다. 그래서 트럼프가 미 국민들을 무서워하지 않고 폭주를 하는 것 같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52

 

문문 | 제시 앤드루스 - 교보문고

문문 | 봉준호의 〈기생충〉이 한국의 양극화를 그렸다면 《문문》은 세계의 양극화를 형상화한다.픽션이지만, 논픽션처럼 사실관계를 따지면서 읽어보게 되는 소설이다. 제시 앤드루스(Jesse An

product.kyobobook.co.kr

4. 탄핵 절차에 들어간 대통령은 있습니다.

1)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1960~70년대): 전쟁 반대 시위가 전국적으로 일어났고, 이는 미국의 군사 정책 변화에 영향을 줬습니다.

2) 현대의 블랙 라이브스 매터(Black Lives Matter, BLM) 운동: 경찰 폭력과 인종차별에 맞선 대규모 시위가 사회적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04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8: 정치 제도 민주주의가 과연 최선일까? | 스콧 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8: 정치 제도 민주주의가 과연 최선일까? | 민주주의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한다, 유토피아의 가능성을 탐구하다!『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

product.kyobobook.co.kr

6. 정리

미국에도 권력자에 맞선 시민운동, 민주주의 확대를 위한 투쟁, 대통령 사임 등 민주주의를 지키는 경험들이 있었습니다. 다만, 한국이나 다른 국가처럼 시민의 힘으로 정권이 무너지는 형태는 아니었고,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제도 내에서 정권이 교체되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18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9: 리더 누가 되어야 할까? | 질리 헌트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9: 리더 누가 되어야 할까? | 리더의 조건, 역사 속 리더들의 모습에서 발견하다!신개념 아동ㆍ청소년 인문교양서 「세더잘 시리즈」 제29권 『세상

product.kyobobook.co.kr

#미국민주화 #미국역사 #시민권운동 #흑인인권운동 #워터게이트 #닉슨사임 #여성참정권 #노예폐지 #민주주의 #사회운동 #베트남전반대운동 #BLM #블랙라이브스매터 #미국정치 #인권운동 #미국대통령 #탄핵 #평등운동 #미국현대사 #미국사회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