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상은 중국 한족에 연연하지 않는다고?
중화사상은 중국 한족에 연연하지 않는다고?
"중화사상(中華思想)"이란 중국이 자신을 세계의 중심, 즉 '화(華)'로 보고 주변을 '이(夷)'로 구분하는 세계관을 말합니다. 이 사상은 오랜 역사 속에서 발전해왔으며, 한족(漢族) 중심의 민족주의와 연결되기도 하지만, 중화사상이 반드시 한족에만 연연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그 근거로 몽골족(원나라), 만주족(청나라) 등 비한족 왕조도 중국 대륙을 지배하면서 자신들을 '중화'의 계승자로 내세웠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정말 한족에 연연하지 않을까요?
중국 정부, 특히 중국 공산당 고위직에서 한족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생각이 많이 달라집니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 중국 초강대국이 될까 | 안토니 메이슨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 중국 초강대국이 될까 | 왜 전 세계 사람들이 중국에서 만든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을 쓸까?신개념 아동ㆍ청소년 인문교양서「세더잘 시리즈
product.kyobobook.co.kr
1. 중국 공산당과 국가 고위직 및 자치구 행정장 등의 한족 비율
중국 전체 인구에서 한족은 약 91~92%를 차지합니다. 나머지 55개 소수민족이 약 8~9%를 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최고 권력기구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7인은 2024년 기준 전원이 한족입니다. 그리고 중앙정치국 25인 대부분이 한족입니다. 한족이 23~24명(약 92~96%)이고, 소수민족은 1~2명(약 4~8%)에 불과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20차 당대회 기준으로 소수민족은 1명(후춘화, 몽골족)입니다. 중앙위원회도 376인 가운데 한족이 약 90% 이상, 소수민족은 약 10% 미만(실제론 6~7%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국무원, 부총리, 부장 등 고위직도 한족이 90% 이상, 소수민족이 10% 미만(상징적으로 1~2명 정도)입니다. 중앙만 그런 것이 아니고 자치구도 마찬가집니다. 행정장(명목상 수장)은 소수민족이 맡지만, 실질적 권력자인 당서기는 대부분 한족이 차지합니다. 그럼에도 중화사상이 피나 민족에 연연하지 않는다고 말하면 민망할 것 같습니다.
※ 중국 정부 공식 통계나 공산당 명단에서 소수민족 비율은 공개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공개 명단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21
중국에서 태양을 보다 | 데디 킹 - 교보문고
중국에서 태양을 보다 | 우리 아이의 첫 번째 해외여행-중국중국은 어떤 나라일까요? 중국은 도교와 유교의 발상지로 유명하지만, 불교를 동아시아 각지로 전파한 나라이기도 해요. 우리와 같은
product.kyobobook.co.kr
2. 소결론
위와 같이 중국 공산당의 최고 권력층은 거의 한족이 독점하고 있다시피 합니다. '중화민족'이라는 포괄적 개념을 내세우긴 하지만, 실제 권력 배분에서는 한족 중심성이 매우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93
샤먼에서 태양을 보다 | 이형준 - 교보문고
샤먼에서 태양을 보다 | 중국 푸젠성의 토루에는 ‘객가인’이라는 사람들이 살아요!푸젠성은 타이완 맞은편 중국 대륙에 있어요. ‘객가인(客家人)’이라는 말은 손님이란 뜻이에요. 중국인이
product.kyobobook.co.kr
3. 화교나 싱가포르 한족 등은 중국 한족의 정체성보다는 현지 사회에 융화되었다고 주장하는데?
싱가포르나 동남아, 동아시아의 화교(華僑, 해외 중국계)들은 흔히 "민족 정체성에 덜 연연한다", "현지 사회에 융화되었다"고 말하지만, 실제 현실은 그렇게 주장하기엔 뭔가 부족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96
리장에서 태양을 보다 | 양인환 - 교보문고
리장에서 태양을 보다 | 윈난성에는 중국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26개가 모여 사는 리장이라는 도시가 있어요!리장은 해발 2,400미터의 고산에 형성된 도시라 산이 높고 계곡이 깊은 곳입니다. 예전
product.kyobobook.co.kr
4. 화교의 정체성: 현실은 복합적
1) 싱가포르의 한족
싱가포르는 다인종 국가로, 정부가 '싱가포르인'이라는 정체성을 강조합니다. 공식적으로는 민족 간 차별을 금지하고, 한족(약 75%)도 "싱가포르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합니다. 하지만 가정, 언어(중국어, 방언), 명절, 전통 등에서 한족 문화가 여전히 강하게 힘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중국과의 문화적·경제적 유대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중국 정부도 이를 활용하려고 시도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99
홍콩에서 태양을 보다 | 강수진 - 교보문고
홍콩에서 태양을 보다 | 홍콩으로 다시 와 주세요! 나는 빅토리아 공원 부근 초등학교에 다니는 앤디에요. 코로나19가 끝나면 다시 홍콩으로 와 주었으면 좋겠어요. 아직도 홍콩에는 150년 이상
product.kyobobook.co.kr
2) 동남아·동아시아의 화교
다수 화교는 수 세대에 걸쳐 현지 사회에 융화되어 국적, 언어, 습관이 현지화되었습니다. 하지만 화교끼리의 경제적, 사회적 네트워크(중화상회, 화교학교, 친목회 등) 역시 여전히 강합니다. 일부 국가는 화교의 '중국 편향성'을 경계해오고 있고, 화교 스스로도 현지 국가에 충성심을 보여야 했습니다. 이들이 정치적 혹은 다른 이유로 중국에 따를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89
싱가포르에서 태양을 보다 | 이소정 - 교보문고
싱가포르에서 태양을 보다 | 싱가포르에 사는 소피는 껌을 씹어본 일이 없어요!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지만 싱가포르는 다양한 인종이 더불어 살아요. 74%의 중국인, 13%의 말레이인, 9%의 인도인
product.kyobobook.co.kr
5. 동남아의 현실적인 예시
1)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화교들이 현지 사회에서 차별을 받거나, 때로는 '중국과 연계된 집단'으로 의심받기도 합니다.
2) 태국:
태국 화교는 거의 완전히 현지화되어 태국인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지만, 가족 단위에서는 한족 정체성이 남아 있습니다.
3) 싱가포르:
한족이 다수지만, 민족적 자부심보다는 싱가포르 국가에 대한 소속감이 더 강하게 강조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932440
어린이 여행인문학 1-28권 세트 | 데디 킹 외 - 교보문고
어린이 여행인문학 1-28권 세트 | 다른 나라, 다른 문화와의 접촉은 우리네 삶에서 필연이다. 그래서 ‘다름’이 전혀 이상할 게 아니라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점을 어려서부터 배워야 한다. 세계
product.kyobobook.co.kr
6. 소결론
겉보기에는 화교 사회가 민족 정체성에 덜 연연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네트워크와 한족 정체성이 여전히 남아있고, 경제적 이익,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줄 개연성이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부상 이후 일부 화교 사회에서는 중국과의 연결고리를 재평가하거나, 오히려 경계하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72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9: 미국, 어떻게 초강대국이 되었을까? | 유종선 - 교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9: 미국, 어떻게 초강대국이 되었을까? | 미국은 영원한 세계의 초강대국이고, 한국의 우방이야. 앞으로도 변함이 없을 거야. vs 미국은 한국의 혈맹
product.kyobobook.co.kr
7. 중국 본토, 화교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대만인들의 정체성
대만은 중국 한족이 전체 인구의 약 95~9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대만인’이라는 정체성이 한족이라는 민족적 뿌리보다 더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습니다. 즉, "피는 한족이지만, 나는 중국인이 아니라 대만인이다"라는 인식이 많아졌고 강해졌다는 뜻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63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3: 환율, 오르면 개인에게 이로울까? | 위문숙 - 교보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3: 환율, 오르면 개인에게 이로울까? |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올라 경제에 도움이 된다. vs 환율이 상승하면 인플레이션이 심해
product.kyobobook.co.kr
1) 국립정치대학 선거연구센터, 2023년 기준으로 여론조사 수치를 살펴보면,
자신을 "대만인"이라고 생각하는 대만이 약 60~65%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자신을 "중국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약 2~3%뿐이고, 자신을 "대만인+중국인" 모두라고 생각하는 약 30% 미만입니다. 이 30%도 과거 40% 이상에서 감소한 수치입니다.1992년에는 "대만인"만이라고 답한 비율이 17.6%에 불과했고, 반대로 "중국인"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25.5%로 더 많았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17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1: 돈의 전쟁 | 송종운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1: 돈의 전쟁 | 기축통화의 자리를 놓고 벌이는 총성 없는 전쟁. 누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로 부상할 것인가. 경제 패권을 차지하기 위
product.kyobobook.co.kr
2) 대만인들의 정체성 변화는 일시적인 변화가 아닌가?
대만의 경우는 최근 수십 년간의 변화와 역사적 경험 때문에, 단순히 중국의 힘이 더 세진다고 해서 다시 중국인으로 바뀔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와 여론조사에서 나타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46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9: 인구와 경제 | 정민규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9: 인구와 경제 | 인구가 많아야 규모의 경제가 가능해. 많은 인구는 내수를 진작할 밑거름이 될 거야! vs 인구 절벽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사회보장
product.kyobobook.co.kr
● 과거에는 경제적 요인이 컸던 것도 사실
1980~90년대까지에만 해도 중국이 빠르게 성장하고 대만 경제가 정체되어 "중국이 우리보다 잘 살게 되면 정체성에도 변화가 올 수 있다"는 전망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2000년대 초반까지는 "중국과의 경제 협력"에 대한 기대가 대만 사회에 꽤 짙게 드리워졌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453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1: 혐오표현, 차별 없는 세상 만들기 | 이승현 - 교보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1: 혐오표현, 차별 없는 세상 만들기 | 혐오표현은 사회적 소수자를 향한 차별과 폭력을 심화시킨다. 혐오표현을 법으로 금지해야 한다! vs 혐오표현
product.kyobobook.co.kr
● 지금은 경제력 외의 다른 요인이 더 중요해짐
20~30대 대만의 젊은 세대에게는 중국과의 경제 및 힘의 격차와 무관하게 "나는 대만인"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는 민주주의, 자유, 생활양식, 사회적 가치관(언론 자유, 성소수자 권리 등)에서 중국과 다르다는 자부심에서 비롯됩니다. 최근 10~20년간 중국의 대만에 대한 외교적·군사적 압박, 홍콩 사태, 신장·티베트 인권 문제 등은 대만 사회의 젊은이들에게 "우리는 중국과는 다르다"는 인식을 더욱 강화시켰습니다. 오히려 중국이 경제적으로 더 강해질수록, 대만 사회 내부에서는 "우리가 중국에 흡수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되레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339124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세더잘) 세트 | 내인생의책 편집부 외 - 교보문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세더잘) 세트 | 편견과 선입견에 싸인 지식은 NO! 우리 아이들에게 세상을 보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눈을 길러 주는 책내인생의책 출판사는 우리 아이
product.kyobobook.co.kr
● 여론조사 결과
국립정치대학 선거연구센터 등 각종 조사에서 "중국이 경제적으로 더 발전해도, 대만인 정체성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이 지속적으로 증가일로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조사에서 "중국과 경제적 격차가 줄어들거나 역전되어도 대만인이라고 생각하느냐?"에 "그렇다"는 답변이 70% 이상 나왔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43
원자력이 아니면 촛불을 켜야 할까? | 장바티스트 드 파나피외 - 교보문고
원자력이 아니면 촛불을 켜야 할까? | 『원자력이 아니면 촛불을 켜야 할까?』은 원자, 핵분열, 핵에너지 같은 원자력 산업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과학 지식에서 피폭, 요오드, 환경오염같
product.kyobobook.co.kr
● 정체성은 경제력 및 힘만으로 쉽게 바뀌지 않음
대만은 민주주의, 자유, 다양성 등 "대만만의 가치"에 대한 자부심이 커졌기 때문에 단순히 중국이 아무리 잘 살아도 "우리는 원래 중국인"이라는 인식으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291
돈을 알면 세상이 보일까? | 알렉상드르 메사제 - 교보문고
돈을 알면 세상이 보일까? | 53개 키워드로 알아보는 돈의 모든 것!「청소년 지식수다」제5권 『돈을 알면 세상이 보일까?』. 돈과 관련된 53개 키워드를 통해 돈의 모든 것을 파헤친다. 우선 돈은
product.kyobobook.co.kr
● 예외도 존재
일부 노년층이나 중국 본토 출신 이민자, 혹은 경제적 이익을 크게 보는 일부 계층에서는 여전히 "중국과 가까워져야 한다"는 인식이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사회 분위기와 세대별 경향은 "대만인" 정체성 쪽으로 확고하게 기울어 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278
언어가 사라지면 인류는 어떻게 될까? | 실비 보시에 - 교보문고
언어가 사라지면 인류는 어떻게 될까? | 《언어가 사라지면 인류는 어떻게 될까?》는 소중한 인간 언어를 둘러싼 모든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책이다. 이 책은 문자의 기원, 신화 속 언어, 원시인
product.kyobobook.co.kr
8. 결론
중화사상이 한족에 연연하는지, 않는지는 결론을 내릴 수 없으나, 중국 본토는 지나치게 충실하게 연연하는 모습을 보이고, 화교들은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될지 확신을 할 수 없고, 대만은 어느 정도 중국에 동화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25649
신문 읽을까 클릭할까 | 마리용 기요 - 교보문고
신문 읽을까 클릭할까 | 「청소년 지식수다」 제2권 『신문 읽을까 클릭할까』. 이 책은 신문의 제작 과정과 그에 얽힌 자세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리 곁에는 늘 신문, 잡지, 인터넷 기사가 있
product.kyobobook.co.kr
#중화사상 #중국중심주의 #한족 #중화민족 #민족정체성 #중국역사 #다민족국가 #중국문화 #동아시아사상 #중국정체성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297
경제 성장이라는 괴물 | 실비 뮈니글리에 - 교보문고
경제 성장이라는 괴물 | 경제 성장이라는 허울에 가려 망가져가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경제 성장이라는 괴물』. 50개의 핵심 키워드를 통해 지구 환경을 지키면서 경제적인
product.kyobobook.co.kr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752325
일단 앉아 봐 | 에런 밸릭 - 교보문고
일단 앉아 봐 | 청소년들의 고민을 귀 기울여 담아낸 조언집 《일단 앉아 봐》에서는 심리학에서 입증된 이론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마음을 스스로 잘 다스리며 성장할
product.kyobobook.co.kr
※아래를 클릭하시면 관련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ookinmylife/223893585056
중화사상은 중국 한족에 연연하지 않는다고?
중화사상은 중국 한족에 연연하지 않는다고? "중화사상(中華思想)"이란 중국이 자신을 세계의 중...
blog.naver.com